반응형
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
子曰: “말을 독식하게 하는 사람은(論篤是與), 군자다운 사람일까(君子者乎)? 얼굴빛만 근엄한 사람일까(色莊者乎)?”
○ 言但以其言論篤實而與之, 則未知其爲君子者乎? 爲色莊者乎? 言不可以言貌取人也.
○ 다만(但) 그 말하는 것이(以其言論) 독실하면(篤實而與之, 則) 그가 군자인 사람인지(其爲君子者乎) 얼굴빛만 꾸미는 사람인지(爲色莊者乎) 알 수 없다(未知)는 말이다(言). 말과 용모로(以言貌) 사람을 취해서는(取人) 안된다고 말했다(言不可也).
* 篤을 주자는 篤實(독실)함으로, 韓愈(한유)는 극진함으로 풀었다. 論은 말과 글 등의 의사 표현이다. 論篤是與를 양백준은 與論篤의 도치된 형태로 파악하고, 是는 도치를 돕는 용도로 쓰였다고 본다. 論篤을 주자는 말만 독실하게 하는 사람이라고 풀었다. 與는 許與(허여), 즉 인정의 의미다. (황태현의 고전 속 성어)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22] 회하감사(回何敢死) / 제가 어찌 감히 죽겠습니까 (0) | 2024.09.09 |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21] 문사행저(聞斯行諸) / 사람에 따라 다르게 가르치는 공자의 교육법 (0) | 2024.09.09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9] 선인지도(善人之道) / 선인이라도 자취를 밟지 않으면 방에 들어갈 수 없다 (0) | 2024.09.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8] 억즉누중(億則屢中) / 억측한 것이 잘 들어맞았다 (0) | 2024.09.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7] 우노벽안(愚魯辟喭) / 공자가 제자들을 평가하다 (0) | 202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