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張問:(자장문) “士何如斯可謂之達矣?”(사하여사가위지달의)
자장이 묻기를(子張問): “사가(士) 어떠하면(何如) 곧(斯) 달했다고 할만한가요(可謂之達矣)?”
達者, 德孚於人而行無不得之謂.
달이란(達者), 덕이(德) 남에게 미덥게 되어(孚於人而) 행실에(行) 하지 못하는 것이 없음을(無不得之) 말한다(謂).
子曰: “何哉, 爾所謂達者?”(하재 이소위달자)
子曰: “무엇인가(何哉), 네가(爾) 이른바(所謂) 달이란 것은(達者)?”
子張務外, 夫子蓋已知其發問之意. 故反詰之, 將以發其病而藥之也.
자장이(子張) 바깥에 힘쓰니(務外), 부자가(夫子) 대체로(蓋) 이미(已) 질문한 뜻을 알았다(知其發問之意). 그러므로(故) 반문해서(反詰之), 장차(將) 그것으로(以) 그 병통을 드러내고(發其病而) 고치려는 것이다(藥之也).
子張對曰:(자장대왈) “在邦必聞, 在家必聞.”(재방필문 재가필문)
자장이 대답하길(子張對曰): “나라에서(在邦) 반드시(必) 알려지고(聞), 집안에서(在家) 반드시(必) 알려지는 것입니다(聞).”
言名譽著聞也.
子曰: “是聞也, 非達也.(시문야 비달야)
子曰: “이것은(是) 알려진 것이고(聞也), 달이 아니다(非達也).
聞與達相似而不同, 乃誠僞之所以分, 學者不可不審也. 故夫子旣明辨之, 下文又詳言之.
문과 달은(聞與達) 서로 비슷하지만(相似而) 같지 않고(不同), 바로(乃) 참과 거짓이(誠僞之) 나뉘는 것이고(所以分), 배우는 사람은(學者) 살피지 않을 수 없다(不可不審也). 그러므로(故) 부자가(夫子) 이미(旣) 밝게 구별하고(明辨之), 아래 글에서(下文) 또(又) 상세히 말했다(詳言之).
夫達也者, 質直而好義, 察言而觀色, 慮以下人.(부달야자 질직이호의 찰언이관색 려이하인) 在邦必達, 在家必達.(재방필달 재가필달)
무릇 달이란(夫達也者), 질박하고 정직해서(質直而) 의를 좋아하고(好義), 말을 살피고(察言而) 얼굴빛을 살피고(觀色), 헤아려서(慮以) 남에게 <자신을> 낮추는 것이다(下人). 나라에서(在邦) 반드시 달하고(必達), 집안에서(在家) 반드시(必) 달할 것이다(達).
○內主忠信. 而所行合宜, 審於接物而卑以自牧, 皆自修於內, 不求人知之事. 然德修於己而人信之, 則所行自無窒礙矣.
○안으로(內) 충신을 위주로 하고(主忠信, 而) 행하는 것이(所行) 마땅함에 맞고(合宜), 외물을 접해서(於接物) 살피고(審而) 낮춰서(卑以) 자기를 기르는 것이(自牧), 모두(皆) 안에서 나를 닦는 것이고(自修於內), 남이 알아주기를 구하지 않는(不求人知之) 일이다(事). 그러나(然) 덕이(德修) 나에게 닦여서(於己而) 사람들이 믿으면(人信之, 則) 행한 것에(所行) 절로(自) 막힘이 없다(無窒礙矣).
夫聞也者, 色取仁而行違, 居之不疑.(부문야자 색취인이행위 거지불의) 在邦必聞, 在家必聞.”(재방필문 재가필문)
무릇(夫) 문이란(聞也者), 얼굴빛이(色) 인을 취하지만(取仁而) 행실은 어긋나고(行違), 지내는 것이(居之) 의심을 갖지 않는다(不疑). 나라에 있어(在邦) 반드시 알려지고(必聞), 집안에서도(在家) 반드시 알려진다(必聞).”
○ 善其顔色以取於仁, 而行實背之, 又自以爲是而無所忌憚. 此不務實而專務求名者, 故虛譽雖隆而實德則病矣.
○ 그 안색을(其顔色) 좋게 만들어서(善以) 인을 취하고(取於仁, 而) 행실은(行實) 그것을 등지고(背之), 또(又) 스스로(自) 옳다고 여겨서(以爲是而) 꺼리는 것이 없다(無所忌憚). 이것은(此) 실질에 힘쓰지 않고(不務實而) 이름을 구하는 것을(求名者) 오로지 힘쓰는 것이고(專務), 그러므로(故) 헛된 명예가 높지만(虛譽雖隆而) 실제 덕은(實德則) 병든다(病矣).
○ 程子曰: “學者須是務實, 不要近名. 有意近名, 大本已失. 更學何事? 爲名而學, 則是僞也. 今之學者, 大抵爲名. 爲名與爲利雖淸濁不同, 然其利心則一也.”
○ 程子曰: “학자는(學者) 모름지기(須) 실제에 힘쓰고(是務實), 명성을(名) 가까이하지 말아야 한다(不要近). 명성을 가까이하는 것에 뜻을 두면(有意近名), 큰 근본이(大本) 이미 없어진다(已失). 다시(更) 무엇을 배우겠는가(學何事)? 명성을 위해서(爲名而) 배운다면(學, 則) 이것은 거짓이다(是僞也). 지금의 학자는(今之學者), 대체로(大抵) 명성을 위한다(爲名). 명성을 위하는 것과(爲名與) 이익을 위하는 것이(爲利) 비록(雖) 청탁이(淸濁) 같지 않지만(不同), 그러나(然) 그 이익의 마음은(其利心則) 같다(一也).”
尹氏曰: “子張之學, 病在乎不務實. 故孔子告之, 皆篤實之事, 充乎內而發乎外者也. 當時門人親受聖人之敎, 而差失有如此者, 況後世乎?”
尹氏曰: “자장의 학문이(子張之學), 병이(病) 실제에 힘쓰지 않는 것에(乎不務實) 있다(在). 그러므로(故) 공자가 일러준 것이(孔子告之), 모두(皆) 실질을 돈독히 하는(篤實之) 일이고(事), 안에 채워서(充乎內而) 바깥에 드러내는 것이다(發乎外者也). 당시(當時) 문인들이(門人) 성인의 가르침을(聖人之敎) 직접 받았지만(親受, 而) 차실에(差失) 이와 같은 것이 있으니(有如此者), 하물며(況) 후세는 어떻겠는가(後世乎)?”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2] 거직조저왕(擧直錯枉) / 곧을 것을 들어 굽은 것은 바르게 하는 것이 인과 지다 (0) | 2024.09.13 |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1] 선사후득(先事後得) / 번지가 숭덕과 수특, 변혹을 물었다 (0) | 2024.09.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9] 초상지풍(草上之風) / 바람이 불면 풀은 눕는다 (0) | 2024.09.12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8] 수상부절(雖賞不竊) / 상을 주더라도 도둑질하지 않을 것이다 (0) | 2024.09.12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7] 정자정야(政者正也) / 정치는 바르게 하는 것이다 (0)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