樊遲從遊於舞雩之下, 曰:(번지종유어무우지하 왈) “敢問崇德, 脩慝, 辨惑.”(감문숭덕수특변혹)
번지가(樊遲) 무아 아래서(於舞雩之下) <공자를> 따라 놀면서(從遊), 말하길(曰): “감히(敢) 숭덕과 수특, 변혹을 묻습니다(問崇德, 脩慝, 辨惑).”라고 했다.
○ 胡氏曰: “慝之字從心從匿, 蓋惡之匿於心者. 脩者, 治而去之.”
○ 胡氏曰: “특이란 글자는(慝之字) 마음 심을 따르고(從心) 숨길 닉을 따랐으니(從匿), 대체로(蓋) 악이(惡之) 마음에 숨어 있는 것이다(匿於心者). 수란(脩者), 다스려(治而) 없애는 것이다(去之).”
子曰: “善哉問!(선재문)
子曰: “좋구나(善哉) 질문이(問)!
善其切於爲己.
그것이(其) 자기에게 절실한 것을(切於爲己) 좋게 여긴 것이다(善).
先事後得, 非崇德與?(선사후득 비숭덕여) 攻其惡, 無攻人之惡, 非脩慝與?(공기악 무공인지악 비수특여) 一朝之忿, 忘其身, 以及其親, 非惑與?”(일조지분 망기신 이급기친 비혹여)
일을 먼저 하고(先事) 얻음을 뒤로하는 것이(後得), 덕을 높이는 일이 아니겠는가(非崇德與)? 자기 악을 공격하고(攻其惡), 남의 악을 공격하는 일이(攻人之惡) 없는 것이(無), 사특함을 닦는 것이 아니겠는가(非脩慝與)? 하루아침의(一朝之) 분함으로(忿), 자기 몸을 망치고(忘其身, 以) 부모에게 미치게 하는 것이(及其親), 미혹이 아니겠는가(非惑與)?”
○ 先事後得, 猶言先難後獲也. 爲所當爲而不計其功, 則德日積而不自知矣. 專於治己而不責人, 則己之惡無所匿矣. 知一朝之忿爲甚微, 而禍及其親爲甚大, 則有以辨惑而懲其忿矣. 樊遲麤鄙近利, 故告之以此, 三者皆所以救其失也.
○ 선사후득은(先事後得), 어려운 것을 먼저 하고(先難) 얻는 것을 나중에 한다는(後獲) 말과 같다(猶言也). 마땅히 해얄 것을(所當爲) 하고(爲而) 그 공을 헤아리지 않으면(不計其功, 則) 덕이(德) 날로 쌓이고(日積而) 스스로 알지 못한다(不自知矣). 자기를 다스리는 것에(於治己) 오로지 하고(專而) 남을 책망하지 않으면(不責人, 則) 자기의 악에(己之惡) 숨기는 것이 없다(無所匿矣). 하루아침의 분함이(一朝之忿) 매우 하찮은 것이고(爲甚微, 而) 화가(禍) 부모에게 미치는 것이(及其親) 매우 큰 것을(爲甚大) 알면(知, 則) 미혹을 분별하고(有以辨惑而) 분노를 죽일 수 있다(懲其忿矣). 번지가(樊遲) 거칠고 비루하며(麤鄙) 이익을 가까이하고(近利), 그러므로(故) 이것을 일러주었으니(告之以此), 세 가지가(三者) 모두(皆) 자기 잘못을 바로잡는 것이다(所以救其失也).
○ 范氏曰: “先事後得, 上義而下利也. 人惟有利欲之心, 故德不崇. 惟不自省己過而知人之過, 故慝不脩. 感物而易動者莫如忿, 忘其身以及其親, 惑之甚者也. 惑之甚者必起於細微, 能辨之於早, 則不至於大惑矣. 故懲忿所以辨惑也.”
○ 范氏曰: “선사후득은(先事後得), 의를 높이 여기고(上義而) 이를 낮게 여기는 것이다(下利也). 사람에게(人) 오직(惟) 이욕의 마음이 있고(有利欲之心), 그러므로(故) 덕을 높이지 않는다(德不崇). 오직(惟) 자기 허물을(己過) 스스로 살피지 않고(不自省而) 남의 잘못만 알고(知人之過), 그러므로(故) 사특함이(慝) 닦이지 않는다(不脩). 외물에 감응해서(感物而) 쉽게 움직이는 것은(易動者) 분노만 한 것이 없고(莫如忿), 자기 몸을 잊어(忘其身以) 어버이에게 미치는 것은(及其親), 미혹이(惑之) 심한 것이다(甚者也). 미혹이 심한 사람은(惑之甚者) 반드시(必) 작고 미세한 데서 일어나고(起於細微), 분별하는 것이 일찍이라면(能辨之於早, 則) 큰 미혹에 이르지 않는다(不至於大惑矣). 그러므로(故) 분을 삭이는 것이(懲忿) 미혹을 분별하는 방법이다(所以辨惑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3] 충고선도(忠告善道) / 공자가 말한 친구 사귀는 방법 (0) | 2024.09.13 |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2] 거직조저왕(擧直錯枉) / 곧을 것을 들어 굽은 것은 바르게 하는 것이 인과 지다 (0) | 2024.09.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20] 시문비달(是聞非達) / 소문과 통달의 차이 (0) | 2024.09.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9] 초상지풍(草上之風) / 바람이 불면 풀은 눕는다 (0) | 2024.09.12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8] 수상부절(雖賞不竊) / 상을 주더라도 도둑질하지 않을 것이다 (0)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