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都子問曰: “鈞是人也, 或爲大人, 或爲小人, 何也?”(균시인야 혹위대인 혹위소인 하야)
공도자가 묻기를(公都子問曰): “같은(鈞) 이 사람인데(是人也), 혹 대인이 되고(或爲大人), 혹 소인이 되는 것은(或爲小人), 어째서인가요(何也)?”라고 했다.
鈞, 同也.
균은(鈞), 같음이다(同也).
孟子曰: “從其大體爲大人, 從其小體爲小人.”(종기대체위대인 종기소체위소인)
孟子曰: “그 대체(마음)를 따라면(從其大體) 대인이 되고(爲大人), 그 소체(눈과 귀)를 따르면(從其小體) 소인이 된다(爲小人).”
從, 隨也. 大體, 心也. 小體, 耳目之類也.
종은(從), 따름이다(隨也). 대체는(大體), 마음이다(心也). 소체는(小體), 귀와 눈과 같은 부류다(耳目之類也).
曰: “鈞是人也, 或從其大體, 或從其小體, 何也?”(균시인야 혹종기대체 혹종소체 하야) 曰: “耳目之官不思, 而蔽於物, 物交物, 則引之而已矣.(이목지관불사 이폐어물 물교물 즉인지이이의)
曰: “같은(鈞) 이런 사람인데(是人也), 혹 대체를 따르기도 하고(或從其大體), 혹 소체를 따르기도 하는 것은(或從其小體), 어째서인가요(何也)?” '
曰: “눈과 귀의 기능은(耳目之官) 생각하지 않고(不思, 而) 외물에 가려지고(蔽於物), 외물과 외물이 교류하면(物交物, 則) 그것을 이끌 뿐이다(引之而已矣).
官之爲言司也. 耳司聽, 目司視, 各有所職而不能思, 是以蔽於外物. 旣不能思而蔽於外物, 則亦一物而已. 又以外物交於此物, 其引之而去不難矣.
관이란 말은(官之爲言) 맡음이다(司也). 귀는(耳) 듣는 것을 맡고(司聽), 눈은(目) 보는 것을 맡고(司視), 각각(各) 맡은 것이 있고(有所職而) 생각할 수 없으니(不能思), 이 때문에(是以) 외물에 가린다(蔽於外物). 이미(旣) 생각할 수 없고(不能思而) 외물에 가려지면(蔽於外物, 則) 또한(亦) 하나의 외물일 뿐이다(一物而已). 또(又) 외물로(以外物) 저 외물과 교류하면(交於此物), 그가 그것을 이끌어(其引之而) 가는 것이(去) 어렵지 않다(不難矣).
心之官則思, 思則得之, 不思則不得也.(심지관즉사 사즉득지 불사즉부득) 此天之所與我者, 先立乎其大者, 則其小者弗能奪也.(차천지소여아자 선립호기대자 즉기소자불능탈야) 此爲大人而已矣.”(차위대인이이의)
마음의 기능은(心之官則) 생각하는 것이고(思), 생각하면(思則) 얻고(得之), 생각하지 않으면(不思則) 얻지 못한다(不得也). 이것은(此) 하늘이(天之) 나에게 준 것이고(所與我者), 그 큰 것을(乎其大者) 먼저 세우면(先立, 則) 그 작은 것이(其小者) 빼앗지 못한다(弗能奪也). 이것은(此) 대인이 될 뿐이다(爲大人而已矣).”
心則能思, 而以思爲職. 凡事物之來, 心得其職, 則得其理, 而物不能蔽; 失其職, 則不得其理, 而物來蔽之. 此三者, 皆天之所以與我者, 而心爲大. 若能有以立之, 則事無不思, 而耳目之欲不能奪之矣, 此所以爲大人也. 然此天之此, 舊本多作比, 而趙注亦以比方釋之. 今本旣多作此, 而注亦作此, 乃未詳孰是. 但作比字, 於義爲短, 故且從今本云.
마음은(心則) 생각할 수 있고(能思, 而) 생각하는 것을(以思) 직책으로 여긴다(爲職). 무릇(凡) 사물이 올 때(事物之來), 마음이(心) 그 직책을 얻으면(得其職, 則) 그 이치를 얻고(得其理, 而) 외물이(物) 가릴 수 없고(不能蔽); 그 직책을 잃으면(失其職, 則) 그 이치를 얻지 못하고(不得其理, 而) 외물이(物) 와서 가린다(來蔽之). 이 세 가지는(此三者), 모두(皆) 하늘이(天之) 나에게 부여한 것이고(所以與我者, 而) 마음이 크다(心爲大). 만약(若) 그것을 세울 수 있다면(能有以立之, 則) 일에(事) 생각하지 않음이 없고(無不思, 而) 귀와 눈의 욕망이(耳目之欲) 빼앗을 수 없으니(不能奪之矣), 이것은(此) 대인이 되는 까닭이다(所以爲大人也). 그러나(然) 이 천의 차란 글자가(此天之此), 구본에(舊本) 비로 된 것이 많고(多作比, 而) 조주도 또한(趙注亦) 비교함으로(以比方) 해석했다(釋之). 지금 본에는 이미(今本旣) 차로 된 것이 많고(多作此, 而) 주석도 또한(注亦) 차로 해서(作此, 乃) 누가 옳은지 알 수 없다(未詳孰是). 다만(但) 비란 글자로 하면(作比字), 뜻에(於義) 부족하고(爲短), 그러므로(故) 지금(且) 금본을 따른다고 말한다(從今本云).
○ 范浚心箴曰: “茫茫堪輿, 俯仰無垠. 人於其間, 眇然有身. 是身之微, 大倉稊米, 參爲三才, 曰惟心耳. 往古來今, 孰無此心? 心爲形役, 乃獸乃禽. 惟口耳目, 手足動靜, 投閒抵隙, 爲厥心病. 一心之微, 衆欲攻之, 其與存者, 嗚呼幾希! 君子存誠, 克念克敬, 天君泰然, 百體從令.”
○ 范浚心箴曰: “아득한(茫茫) 하늘이여(堪輿), 올려보고 굽어보는 것에(俯仰) 끝이 없다(無垠). 사람이(人) 그 사이에(於其間), 작게(眇然) 몸이 있다(有身). 이 몸의 작음은(是身之微), 대창의 한 낟알인데(大倉稊米), 참여해서(參) 삼재가 되었으니(爲三才), 오직 마음이라고 말할 뿐이다(曰惟心耳). 예로부터 지금까지(往古來今), 누가(孰) 이 마음이 없겠는가(無此心)? 마음이(心) 형체에 부림을 당하고(爲形役), 짐승이 된다(乃獸乃禽). 오직(惟) 입과 귀, 눈(口耳目), 손발과 움직임이(手足動靜), 사이에 던져서(投閒) 틈을 파고들어(抵隙), 마음의 병이 된다(爲厥心病). 마음의 작은 것을(一心之微), 여러 욕망이 공격하니(衆欲攻之), 그 보존된 것이(其與存者), 아(嗚呼) 드물구나(幾希)! 군자가(君子) 성을 보존하고(存誠), 생각하고(克念) 공경하니(克敬), 천군(마음)이 태연하고(天君泰然), 백체가 명령을 따른다(百體從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