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葉公問政.(섭공문정)
섭공이(葉公) 정치를 물었다(問政).
音義並見第七篇.
음과 뜻이(音義) 모두(並) 제7편에 보인다(見第七篇).
子曰: “近者說, 遠者來.”(근자열 원자래)
子曰: “가까운 사람이 기뻐하고(近者說), 멀리 있는 사람이 오는 것이다(遠者來).”
○ 被其澤則悅, 聞其風則來. 然必近者悅, 而後遠者來也.
○ 그 은혜를 입으면(被其澤則) 기뻐하고(悅), 그 풍문을 들으면(聞其風則) 온다(來). 그러나(然) 반드시(必) 가까운 사람이 기뻐하고 나서(近者悅, 而後) 먼 곳의 사람이 온다(遠者來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8] 부자상은 직궁증부(父子相隱 直躬證父) / 직궁의 정직함은 정직하지 못한 것만 못하다 (0) | 2024.09.20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7] 욕속부달(欲速不達) / 서두르면 오히려 이르지 못한다 (0) | 2024.09.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5] 일언흥방(一言興邦) / 나라를 흥하게 하는 말 한마디 (1) | 2024.09.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4] 그것은 집안일일 뿐이다 (0) | 2024.09.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로(子路) 13-13] 자기를 바르게 하는 것이 우선이다 (0)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