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由! 知德者鮮矣.”(유 지덕자선의)
子曰: “유야(由)! 덕을 아는 사람이(知德者) 드물구나(鮮矣).”
○ 由, 呼子路之名而告之也. 德, 謂義理之得於己者. 非己有之, 不能知其意味之實也.
○ 유란(由), 자로의 이름을 부르고(呼子路之名而) 일러주신 것이다(告之也). 덕은(德), 의리가(義理之) 자기에게 얻어진 것을(得於己者) 말한다(謂). 자기에게 있지 않으면(非己有之), 그 의미의 실제를(其意味之實) 알 수 없다(不能知也).
○ 自第一章至此, 疑皆一時之言. 此章蓋爲慍見發也.
○ 제1장부터(自第一章) 여기까지(至此), 모두(皆) 한 때의 말인가(一時之言) 싶다(疑). 이 장은(此章) 대체로(蓋) 화내는 것을(爲慍) 보고서(見) 드러낸 것이다(發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5] 충신독경(忠信篤敬) / 도가 세상에 행해지는 조건 (0) | 2024.09.30 |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4] 무위이치(無爲而治) / 순임금이 시행한 무위의 정치 (0) | 2024.09.30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2] 일이관지(一以貫之) / 나는 배워서 기억하는 것으로 이루지 않았다 (0) | 2024.09.30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1] 군자고궁(君子固窮) / 군자는 어려울 때 더욱 단단해진다 (0) | 2024.09.30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47] 궐당동자(闕黨童子) / 빨리 이루려고 하지 마라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