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張問行.(자장문행)
자장이(子張) 행하는 것을 물었다(問行).
猶問達之意也.
통달을 물은(問達之) 뜻과(意) 같다(猶也).
子曰: “言忠信, 行篤敬, 雖蠻貊之邦行矣;(언충신 행독경 수만맥지방행의)
子曰: “말은(言) 진실하고 믿음직스럽게 하고(忠信), 행동은(行) 돈독하고 공손하게 하면(篤敬), 비록(雖) 오랑캐의 나라에서도(蠻貊之邦) 행해질 것이고(行矣);
篤, 厚也. 蠻, 南蠻. 貊, 北狄.
독은(篤), 두터움이다(厚也). 만은(蠻), 남만이고(南蠻). 맥은(貊), 북적이다(北狄).
言不忠信, 行不篤敬, 雖州里行乎哉?(언불충신 행부독경 수주리행호재)
말이(言) 진실하지 않고 믿음직스럽지 않으며(不忠信), 행실이(行) 돈독하지 않고 공손하지 않으면(不篤敬), 비록(雖) 주리와 같은 고을에서도(州里) 행해질 수 있겠는가(行乎哉)?
○ 子張意在得行於外, 故夫子反於身而言之, 猶答干祿ㆍ問達之意也. 二千五百家爲州.
○ 자장의 뜻은(子張意) 바깥에서(於外) 행해짐을 얻는 데 있고(在得行), 그러므로(故) 선생님이(夫子) 자기에게 되돌리라고(反於身而) 말했으니(言之), 간록과 문답에 대답한 뜻과 같다(猶答干祿問達之意也). 2500 가구가(二千五百家) 주가 된다(爲州).
立, 則見其參於前也;(입즉견기참어전야) 在輿, 則見其倚於衡也.(재여즉견기기어횡야) 夫然後行.”(부연후행)
서면(立, 則) 그것이(其) 앞에 늘어선 것을(參於前) 보고(見也); 수레에 있으면(在輿, 則) 그것이(其) 멍에에 기댄 것을(倚於衡) 보라(見也). 그런 뒤에야(夫然後) 행해질 것이다(行).”
○ 其者, 指忠信ㆍ篤敬而言. 參, 讀如毋往參焉之參, 言與我相參也. 衡, 軛也. 言其於忠信篤敬念念不忘, 隨其所在, 常若有見, 雖欲頃刻離之而不可得. 然後一言一行, 自然不離於忠信篤敬, 而蠻貊可行也.
○ 기란(其者), 충신과 독경을 가리켜(指忠信ㆍ篤敬而) 말했다(言). 참은(參), 무주참언의 참처럼(如毋往參焉之參) 읽고(讀), 나와(與我) 서로 나란한 것을(相參) 말한다(言也). 횡은(衡), 멍에다(軛也). 그 충신과 독경을(其於忠信篤敬) 자꾸 생각해서(念念) 잊지 않고(不忘), 그 있는 곳을 따라서(隨其所在), 늘(常) 보이는 것이 있는 듯하므로(若有見), 비록(雖) 잠시라도(頃刻) 떠나려고 해도(欲離之而) 그럴 수 없다(不可得)는 말이다(言). 그런 뒤에야(然後) 말 한마디와(一言) 한 행실도(一行), 자연스럽게(自然) 충신독경에서 떠나지 않고(不離於忠信篤敬, 而) 만맥에서도(蠻貊) 행해질 수 있다(可行也).
子張書諸紳.(자장서저신)
자장이(子張) 큰 띠에(諸紳) 적었다(書).
紳, 大帶之垂者. 書之, 欲其不忘也.
신은(紳), 큰 띠가(大帶之) 늘어진 것이다(垂者). 서지는(書之), 그가 잊지 않으려는 것이다(欲其不忘也).
○ 程子曰: “學要鞭辟近裏, 著己而已.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言忠信, 行篤敬; 立則見其參於前, 在輿則見其倚於衡; 只此是學. 質美者明得盡, 査滓便渾化, 卻與天地同體. 其次惟莊敬以持養之, 及其至則一也.”
○ 程子曰: “배움은(學) 채찍질로 몰아서(鞭辟近裏) , 몸에 붙도록 하는 것이(著己) 필요할 뿐이다(要而已). 널리 배우고(博學而) 뜻을 돈독히 하고(篤志), 절실하게 묻고(切問而) 가까운 것을 생각하고(近思); 말은(言) 충신하게 하고(忠信), 행동은 돈경하게 하고(行篤敬); 서면 그 앞에 늘어선 것을 보고(立則見其參於前), 수레에 타면(在輿則) 그 멍에에 기댄 것을 보니(見其倚於衡); 다만(只) 이것이(此) 곧 배움이다(是學). 자질이 아름다운 사람은(質美者) 밝히는 것을 다하고(明得盡), 찌꺼기가(査滓) 곧(便) 온전히 사라져(渾化), 곧(卻) 천지와 더불어(與天地) 한 몸이 된다(同體). 그 다음은(其次) 오직(惟) 씩씩하고 공경하는 것으로(莊敬以) 기르니(持養之), 그 도달함에 이르러서는(及其至則) 같다(一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7] 失言失人(실언실인) / 사람을 잃고 말을 잃는 경우 (0) | 2024.09.30 |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6] 가권이회(可卷而懷) / 사어의 곧음과 거백옥의 권도 (0) | 2024.09.30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4] 무위이치(無爲而治) / 순임금이 시행한 무위의 정치 (0) | 2024.09.30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3] 지덕자선의(知德者鮮矣) / 덕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구나 (0) | 2024.09.30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2] 일이관지(一以貫之) / 나는 배워서 기억하는 것으로 이루지 않았다 (0) | 202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