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23]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 /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아라

by मोक्ष 2024. 10. 1.
반응형

子貢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자공문왈 유일언이가이종신행지자호) 子曰: “其恕乎! 己所不欲, 勿施於人.”(자왈 기서호 기소불욕 물시어인)

자공이 묻기를(子貢問曰): “말 한마디로(一言而) 죽을 때까지(終身) 행할 만한 것이 있습니까(可以行之者乎)?”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아마도(其) 서일 것이다(恕乎)! 내가(己) 하고 싶지 않은 것을(所不欲), 남에게(於人) 베풀지 말아라(勿施).”


推己及物, 其施不窮, 故可以終身行之.

자기를 미루어(推己) 남에게 미치면(及物), 그 베풂이(其施) 끝이 없고(不窮), 그러므로(故) 종신토록 행할 수 있다(可以終身行之).


○ 尹氏曰: “學貴於知要. 子貢之問, 可謂知要矣. 孔子告以求仁之方也. 推而極之, 雖聖人之無我, 不出乎此. 終身行之, 不亦宜乎?”

○ 尹氏曰: “배움은(學) 요점을 아는 것을(於知要) 귀하게 여긴다(貴). 자공의 질문이(子貢之問), 요점을 알았다고 할만하다(可謂知要矣). 공자가(孔子) 인을 구하는 방법을(以求仁之方) 일러주었지만(也), 미루어(推而) 끝까지 하면(極之), 비록(雖) 성인의 무아라도(聖人之無我), 이것을(乎此) 벗어나지 않는다(不出). 종신토록 행하는 것이(終身行之), 또한 마땅하지 않겠는가(不亦宜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