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72

[효경주소(孝經注疏) 서(序)] 부주(傅注)가 지은 효경주소의 서 부주(傅注)는 ‘孝經注疏序’ 본문, 곧 아래의 “夫孝經者 孔子之所述作也……”의 서술자다. 형병의 ≪효경주소≫가 원행충 등의 소(疏)를 계승했기 때문에, 형병이 이 책의 서문을 작성하면서 이전의 ≪효경주소≫에 있었던 唐나라 傅注의 서문을 그대로 두었다고 본다. 부주(傅注)의 인적 사항은 자세히 알려진 것이 없다. 무릇(夫) 효경이란(《孝經》者), 공자가(孔子之) 지은 것이다(所述作也). 지은(述作之) 뜻은(旨者), 옛날(昔) 성인이(聖人) 큰 성덕을 간직하고(蘊大聖德), 태어났지만(生) 때를 만나지 못하고(不偶時), 때를 만난 것이(適值) 주 왕실이 쇠미하고(周室衰微), 왕실의 기강이(王綱) 떨어져서(失墜), 군신 관계가(君臣) 주제넘게 어지럽혀지고(僣亂), 예악이(禮樂) 허물어졌다(崩頹). 윗자리에 있는.. 2023. 12. 8.
[효경주소(孝經注疏) 서(序)] 형병 등이 조칙을 받들어 주소를 교정함 당나라 현종은 개원(開元) 7년(719년) 전국의 학자를 소집해 효경을 연구하도록 시켰고, 3년 뒤인 개원 10년(722년) 황제가 직접 주(注)를 기록한 어주효경(御注孝經)을 편찬했다. 이후 천보(天寶) 4년(745년)에 '어주효경'을 증보하고 이것을 돌에 새겨 태학에 세워 두었는데, 이것을 석대효경(石臺孝經)이라 한다. 효경이란(《孝經》者), 백행의(百行之) 으뜸이고(宗), 오교의(五敎之) 핵심이다(要). 옛날(昔) 공자가(孔子) 글을 지은 뒤로부터(自述作), 다가올 앞날에(將來) 모범을 드리우고(垂範), 깊은 뜻과(奧旨) 미묘한 말이(微言), 이미 갖추어져(已備) 주소에서 풀이했다(解乎《注疏》). 하지만(尙) 말이 높고(辭高) 뜻이 멀기(旨遠) 때문에(以), 후학이(後學) 토론을 다하기를(盡討論) .. 2023.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