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미자거지 기자위지노 비간간이사)
미자는 떠나고(微子去之), 기자는(箕子) 노비가 되었고(爲之奴), 비간은(比干) 충고하다 죽었다(諫而死).
微ㆍ箕, 二國名. 子, 爵也. 微子, 紂庶兄. 箕子ㆍ比干, 紂諸父. 微子見紂無道, 去之以存宗祀. 箕子ㆍ比干皆諫, 紂殺比干, 囚箕子以爲奴, 箕子因佯狂而受辱.
미와 기는(微ㆍ箕), 두 나라의 이름이다(二國名). 자는(子), 작위다(爵也). 미자는(微子), 주왕의(紂) 이복형이다(庶兄). 기자와 비간은(箕子ㆍ比干), 주왕의 숙부다(紂諸父). 미자는(微子) 주왕이 무도한 것을(紂無道) 보고(見), 떠나서(去之以) 종사를 보존했다(存宗祀). 기자와 비간이(箕子ㆍ比干) 모두(皆) 충고하자(諫), 주왕이(紂) 비간을 죽이고(殺比干), 기자를 가두어(囚箕子) 노예로 삼았고(以爲奴), 기자는(箕子) 이 때문에(因) 거짓으로 미친 척하고(佯狂而) 모욕을 받았다(受辱).
孔子曰: “殷有三仁焉.”(은유삼인언)
孔子曰: “은나라에(殷) 인자가 셋이 있었다(有三仁焉).”
三人之行不同, 而同出於至誠惻怛之意, 故不咈乎愛之理, 而有以全其心之德也.
세 사람의 행동이(三人之行) 같지 않지만(不同, 而) 지극한 정성과(於至誠) 불쌍히 여기고 슬퍼하는 마음에서(惻怛之意) 같이 나왔고(同出), 그러므로(故) 사랑의 이치를 어기지 않은 것이고(不咈乎愛之理, 而) 그 마음의 덕을(其心之德) 온전하게 할 수 있었다(有以全也).
楊氏曰: “此三人者, 各得其本心, 故同謂之仁.”
楊氏曰: “이 세 사람은(此三人者), 각자(各) 그 본심을 얻었고(得其本心), 그러므로(故) 함께(同) 인하다고 말했다(謂之仁).”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미자(微子) 18-3] 계맹지간(季孟之間) / 나는 적당히 대우 받을 생각은 없다 (0) | 2024.10.08 |
---|---|
[논어집주(論語集注) 미자(微子) 18-2] 직도사인(直道事人) / 곧은 도로써 섬기는데 어디간들 쫓겨나지 않겠는가 (0) | 2024.10.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26] 천선개과(遷善改過) / 나이 사십에 이루지 못하면 끝이다 (0) | 2024.10.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25] 난양(難養) /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어렵다 (0) | 2024.10.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24] 군자유오(君子有惡) / 공자가 미워하는 것들 (0) |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