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下惠爲士師, 三黜.(유하혜위사사 삼출)
유하혜가(柳下惠) 사사가 되었다가(爲士師), 세 번 쫓겨났다(三黜).
○ 士師, 獄官. 黜, 退也. 柳下惠三黜不去,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 사사는(士師), 옥관이다(獄官). 출은(黜), 물러남이다(退也). 유하혜가(柳下惠) 세 번 물러났지만(三黜) 떠나지 않았고(不去, 而) 그 말의 기상이(其辭氣) 화락하고 조용한 것이(雍容) 이와 같으니(如此), 온화하다고 할만하다(可謂和矣).
* 雍容(옹용): (마음이)화락(和樂)하고 조용함.
人曰: “子未可以去乎?”(인왈 자미가이거호) 曰: “直道而事人, 焉往而不三黜?(왈 직도이사인 언왕이불삼출) 枉道而事人, 何必去父母之邦.”(왕도이사인 하필거부모지방)
사람들이 말하길(人曰): “그대는(子) <나라를> 떠날 수 없는 것인가(未可以去乎)?”라고 했다.
말하길(曰): “도를 곧게 해서(直道而) 사람을 섬겼는데(事人), 어디에 가더라도(焉往而) 세 번 쫓겨나지 않겠는가(不三黜)? 도를 굽혀서(枉道而) 사람을 섬긴다면(事人), 하필(何必) 부모의 나라를 떠나겠는가(去父母之邦).”라고 했다.
○ 然其不能枉道之意, 則有確乎其不可拔者. 是則所謂必以其道, 而不自失焉者也.
○ 그러나(然) 그가(其) 도를 굽히지 않은 뜻은(不能枉道之意, 則) 확고하고(確乎) 그(其) 빼앗지 못할 것이(不可拔者) 있다(有). 이것은(是則) 이른바(所謂) 반드시(必) 그 도로써 하고(以其道, 而) 스스로 잃지 않았다라는 것이다(不自失焉者也).
○ 胡氏曰: “此必有孔子斷之之言而亡之矣.”
○ 胡氏曰: “여기에(此) 반드시(必) 공자가(孔子) 판단한 말이(斷之之言) 있어야 하지만(有而) 그것이 없다(亡之矣).”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미자(微子) 18-4] 삼일부조(三日不朝) / 공자가 떠난 이유 (0) | 2024.10.08 |
---|---|
[논어집주(論語集注) 미자(微子) 18-3] 계맹지간(季孟之間) / 나는 적당히 대우 받을 생각은 없다 (0) | 2024.10.08 |
[논어집주(論語集注) 미자(微子) 18-1] 은유삼인(殷有三仁) / 은나라에 세 명의 인자가 있었다 (0) | 2024.10.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26] 천선개과(遷善改過) / 나이 사십에 이루지 못하면 끝이다 (0) | 2024.10.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양화(陽貨) 17-25] 난양(難養) /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어렵다 (0) |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