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夏之門人問交於子張.(자하지문인문교어자장) 子張曰: “子夏云何?”(자장왈 자하운하) 對曰: “子夏曰: 可者與之, 其不可者拒之.”(대왈 자하왈 가자여지 기불가자거지) 子張曰: “異乎吾所聞:(자장왈 이호오소문) 君子尊賢而容衆, 嘉善而矜不能.(군자존현이용중 가선이긍불능) 我之大賢與, 於人何所不容?(아지대현여 어인하소불용) 我之不賢與, 人將拒我, 如之何其拒人也?”(아지불현여 인장거아 여지하기거인야)
자하의 문인이(子夏之門人) 자장에게(於子張) 사귐을 물었다(問交).
자장이 말하길(子張曰): “자하가(子夏) 무엇을 말하던가(云何)?”라고 했다.
대답하여 말하길(對曰): “자하가 말하길(子夏曰): 사귈만한 사람이면(可者) 함께 하고(與之), 그가(其) 그렇지 않은 사람이면(不可者) 거절하라고 했습니다(拒之).”라고 했다.
자장이 말하길(子張曰): “내가 들은 것과(乎吾所聞) 다르다(異): 군자는(君子) 어진 사람을 존중하고(尊賢而) 보통 사람을 받아들이고(容衆), 선한 사람을 아름답게 여기고(嘉善而) 재능이 없는 사람을 불쌍히 여긴다(矜不能). 내가(我之) 크게 어질다면(大賢與), 남에 대하여(於人) 어찌(何) 받아들이지 못하겠는가(所不容)? 내가(我之) 어질지 않다면(不賢與), 남이(人) 장차(將) 나를 거부할 것인데(拒我), 어찌(如之何) 그(其) 남을 거절하겠는가(拒人也)?”라고 했다.
○ 子夏之言迫狹, 子張譏之是也. 但其所言亦有過高之病. 蓋大賢雖無所不容, 然大故亦所當絶; 不賢固不可以拒人, 然損友亦所當遠. 學者不可不察.
○ 자하의 말이(子夏之言) 박절하고 편협하니(迫狹), 자장이(子張) 그를 꾸짖은 것은(譏之) 옳다(是也). 다만(但) 그가 말한 것도(其所言) 또한(亦) 너무 높은 병통이 있다(有過高之病). 대개(蓋) 대현은(大賢) 비록(雖)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없지만(無所不容), 그러나(然) 큰 연고라면(大故) 또한(亦) 마땅히 거절해야 하는 것이고(所當絶); 불현은(不賢) 진실로(固) 남을 거절하지 못하지만(不可以拒人), 그러나(然) 손해 되는 벗이라면(損友) 또하(亦) 마땅히 멀리해야 하는 것이다(所當遠). 학자는(學者) 살피지 않을 수 없다(不可不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5] 가위호학(可謂好學) / 이러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다 (0) | 2024.10.09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4] 치원공니(致遠恐泥) / 작은 기예는 원대한 도리에 방해가 된다 (0) | 2024.10.09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2] 집덕불홍 신도부독(執德不弘 信道不篤) / 덕을 지키고 믿는 것 (0) | 2024.10.09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1] 견위치명 견득사의(見危致命 見得思義) / 선비라고 할 만한 사람의 생활 태도 (0) | 2024.10.08 |
[논어집주(論語集注) 미자(微子) 18-11] 주유팔사(周有八士) / 주나라에 여덟 선비가 있었다 (0) |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