叔孫武叔毁仲尼.(숙손무숙훼중니) 子貢曰: “無以爲也, 仲尼不可毁也.(자공왈 무이위야 중니불가훼야)
숙손무숙이(叔孫武叔) 중니를 헐뜯었다(毁仲尼).
자공이 말하길(子貢曰): “할 것이 없으니(無以爲也), 중니를(仲尼) 비방할 수 없다(不可毁也).
無以爲, 猶言無用爲此.
무이위는(無以爲), 이것을 하는 것이(爲此) 쓸 데가 없다고(無用) 말한 것과 같다(猶言).
他人之賢者, 丘陵也, 猶可踰也;(타인지현자 구릉야 유가유야) 仲尼, 日月也, 無得而踰焉.(중니 일월야 무득이유언)
다른 사람의(他人之) 현명함은(賢者), 구릉이고(丘陵也), 오히려(猶) 넘을 수 있지만(可踰也); 중니는(仲尼), 일월이고(日月也), 넘을 수 없다(無得而踰焉).
土高曰丘, 大阜曰陵. 日月, 踰其至高.
흙이 높은 것을(土高) 구라 하고(曰丘), 큰 언덕을(大阜) 릉이라 한다(曰陵). 일월은(日月), 그 지극히 높음을(其至高) 비유한 것이다(踰).
人雖欲自絶, 其何傷於日月乎?(인수욕자절 기하상어일월호) 多見其不知量也!”(다견기부지량야)
사람들이(人) 비록(雖) 스스로 끊으려 해도(欲自絶), 그(其) 해와 달에게(於日月) 무슨 상처를 입히겠는가(何傷乎)? 다만(多) 그 분량을 알지 못함을(其不知量) 보일 뿐이다(見也)!”라고 했다.
○ 自絶, 謂以謗毁自絶於孔子. 多, 與祗同, 適也. 不知量, 謂不自知其分量.
○ 자절은(自絶), 훼방해서(謂以謗毁) 공자에게 자기를 끊어지도록 함이다(自絶於孔子). 다는(多), 지와 같고(與祗同), 다만이다(適也). 부지량은(不知量), 스스로(自) 그 분량을 알지 못함을(不知其分量) 말한다(謂).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요왈(堯曰) 20-1] 윤집궐중(允執其中) / 요임금으로부터 전해 내려온 것 (0) | 2024.10.10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25] 부자지불가급(夫子之不可及) / 하늘에 사다리를 놓고 오를 수는 없다 (0) | 2024.10.1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23] 부자지장(夫子之牆) / 선생님의 담장은 너무 높아서 안을 볼 수 없다 (0) | 2024.10.1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22] 문무지도(文武之道) / 공자가 어디서 배웠겠는가? (0) | 2024.10.1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21] 군자지과(君子之過) / 군자의 허물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다 (0)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