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주소(論語注疏)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0] 공자의 온후, 선량, 공손, 검소, 겸양 / 부자온량공검양(夫子溫良恭儉讓)

by मोक्ष 2024. 2. 14.
반응형

子禽問於子貢曰: "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부자지어시방야 필문기정) 求之與?抑與之與?"(구지여 억여지여) 鄭曰: "子禽, 弟子陳亢也. 子貢, 弟子, 姓端木, 名賜. 亢怪孔子所至之邦必與聞其國政, 求而得之邪?抑人君自願與之爲治?"  子貢曰: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부자온량공검양이득지)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부자지구지야 기저이호인지구지여) 鄭曰: "言夫子行此五德而得之, 與人求之異, 明人君自與之."

자금이(子禽) 자공에게 물어 말하길(問於子貢曰): "부자께서(夫子) 어느 나라에 이르면(至於是邦也), 반드시(必) 그 정치를 듣습니다(聞其政). <공자께서> 구한 것인가요(求之與)? 아니면(抑) <임금이> 준 것인가요(與之與)?" 鄭曰: "자금은(子禽), 제자 진강이다(弟子陳亢也). 자공은(子貢), 제자로(弟子), 성은 단목이고(姓端木), 이름은 사다(名賜). 강은(亢) 공자가(孔子) 도착한 나라에서(所至之邦) 반드시(必) 더불어(與) 그 국정을 듣는 것을(聞其國政) 괴이하게 여겨(怪), 구해서(求而) 얻은 것인가(得之邪)? 아니면(抑) 임금이(人君) 스스로 원해서(自願) 공자와 더불어(與之) 정치한 것인가(爲治)?를 궁금해했다"라고 했다. 자공이 말하길(子貢曰): "선생님은(夫子) 온화하고(溫), 선량하고(良), 공손하고(恭), 검소하고(儉), 겸양해서(讓以) 그것을 얻었다(得之). 선생님이(夫子之) 구하는 것은(求之也), 아마도(其諸) 다른 사람이 구하는 것과(乎人之求之) 다를 것이다(與)!라고 했다. 鄭曰: "부자는(夫子) 이 다섯 덕을 실천해서(行此五德而) 얻었고(得之), 다른 사람과 더불어(與人) 구하는 것이 다르다는(求之異) 말이고(言), 임금이(人君) 스스로 준 것임을(自與之) 밝혔다(明)."라고 했다.

【疏】'子禽'至'求之'. ○正義曰'此章明夫子由其有德與聞國政之事. '子禽問於子貢曰: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 求之與?抑與之與'者, 子禽疑怪孔子所至之邦必與?聞其國之政事, 故問子貢曰: "此是孔子求於時君而得之與?抑人君自願與夫子爲治與?" 抑、與皆語辭. 

【疏】 자금부터 구지까지('子禽'至'求之'). ○正義曰'이 장은(此章) 부자는(夫子) 그에게 덕이 있음으로 말미암아(由其有德) 더불어(與) 국정의 일을 들었음을(聞國政之事) 밝혔다(明). 

['子禽問於子貢曰: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 求之與? 抑與之與'者], 자금이(子禽) 공자께서(孔子) 이른 곳의 나라에서(所至之邦) 반드시(必) 더불어(與) 나라 정치의 일을 듣는 것을(聞其國之政事) 괴이하게 여겼고(疑怪), 그러므로(故) 자공에게 물어 말하길(問子貢曰): "이것은(此是) 공자께서(孔子) 당시 임금에게 구해서(求於時君而) 얻은 것인가(得之與) 아니면(抑) 임금이(人君) 스스로 원해서(自願) 공자와 더불어(與夫子) 정치한 것인가(爲治與)"라고 물었다. 억(抑)은, 개와 더불어(與皆) 어조사다(語辭). 

 

'子貢曰: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者, 此子貢荅辭也. 敦柔潤澤謂之溫, 行不犯物謂之良, 和從不逆謂之恭, 去奢從約謂之儉, 先人後已謂之讓. 言夫子行此五德而得與聞國政. 他人則就君求之, 夫子則脩德, 人君自願與之爲治, 故曰: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 諸、與皆語辭. 

['子貢曰: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者], 이것은(此) 자공이(子貢) 대답한 말이다(荅辭也). 도탑고 부드럽고(敦柔) 윤택한 것을(潤澤) 온이라 하고(謂之溫), 행실이(行) 남을 범하지 않는 것을(不犯物) 량이라 하고(謂之良), 화합하고 순종해서(和從) 거스르지 않는 것을(不逆) 공이라 하고(謂之恭), 사치를 멀리하고 검소함을 따르는 것을(去奢從約) 검이라 하고(謂之儉), 남을 앞세우고 자기를 뒤로 하는 것을(先人後已) 양이라 한다(謂之讓). 부자는(夫子) 이 다섯 가지 덕을 행하고(行此五德而) 함께 국정을 들을 수 있었다는(得與聞國政) 말이다(言). 다른 사람이라면(他人則) 군주에게 나아가(就君) 구하지만(求之), 부자라면(夫子則) 덕을 닦아서(脩德), 임금이(人君) 스스로 원해서(自願) 그와 더불어 정치했고(與之爲治),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부자가 구한 것은(夫子之求之也), 아마도(其) 다른 사람이 구하는 것과(乎人之求之) 다를 것이다(與)!"라고 했다. 저는(諸)、개와 더불어(與皆) 어조사다(語辭). 

 

○注'鄭曰'至'爲治'. ○正義曰:云: "子禽, 弟子陳亢. 子貢, 弟子, 姓端木, 名賜'者, 《家語·七十二弟子》篇云: "陳亢, 陳人, 字子禽, 少孔子四十歲." 《史記·弟子傳》云: "端木賜字子貢, 少孔子三十一歲." 云'求而得之邪'者, 邪, 未定之辭.

○注정왈부터 위치까지('鄭曰'至'爲治'). ○正義曰:[云: "子禽, 弟子陳亢. 子貢, 弟子, 姓端木, 名賜'者], 가어 72 제자 편에서 말하길(《家語·七十二弟子》篇云): "진강은(陳亢), 진나라 사람이고(陳人), 자는 자금이며(字子禽), 공자보다 어린 것이 40살이다(少孔子四十歲)."라고 했다. 사기 제자전에서 이르길(《史記·弟子傳》云): "단목사는(端木賜) 자가 자공이고(字子貢), 공자보다 어린 것이(少孔子) 33살이다(三十一歲)."라고 했다. [云'求而得之邪'者], 야는(邪), 미정사다(未定之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