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 뒤안길/효경주소(孝經注疏)

[효경주소(孝經注疏) 효치장(孝治章) (1/5)] 명왕은 효로 천하를 다스렸다 / 명왕이효치천하(明王以孝治天下)

by मोक्ष 2024. 2. 15.
반응형

【疏】正義曰: 夫子述此明王以孝治天下也. 前章明先王因天地·順人情以爲教. 此章言明王由孝而治, 故以名章, 次《三才》之後也. 

【疏】正義曰: 이것은 부자께서(夫子此) 명왕이 효로 천하라를 다스린 것을(明王以孝治天下) 설명한 것이다(也). 앞 장은(前章) 선왕이(先王) 천지에 의지하고(因天地) 인정을 따라 가르친 것을(順人情以爲教) 밝혔다(明). 이 장은(此章) 명왕이 효를 따라서(明王由孝而) 다스린 것을(治) 말했고(言), 그러므로(故) 그것으로 장을 이름 지었고(以名章), 순서가(次) 삼재의 뒤가 되었다(《三才》之後也). 

 

子曰: "昔者明王之以孝治天下也,(석자명왕지이효치천하야)  言先代聖明之王, 以至德要道化人, 是爲孝理. 不敢遺小國之臣, 而況於公侯伯子男乎?(불감유소국지신 이황어공후백자남호) 小國之臣, 至卑者耳. 主尚接之以禮, 況於五等諸侯, 是廣敬也. 故得萬國之懽心, 以事其先王.(고득만국지환심 이사기선왕)  萬國, 舉其多也. 言行孝道, 以理天下, 皆得歡心, 則各以其職來助祭也.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옛날(昔者) 명왕은(明王之) 효로(以孝) 천하를 다르렸고(治天下也), 《선대의 명왕은(先代聖明之王), 지극한 덕과 요긴한 도로(以至德要道) 사람을 교화했고(化人), 이것이(是) 효의 다스림이 된다는(爲孝理) 말이다(言). 감히(敢) 작은 나라의 신하를 버리지 않았으니(遺小國之臣, 而) 하물며(況) 공후백자남에 대해서는 어떠했겠는가(於公侯伯子男乎)? 《소국의 신하는(小國之臣), 지극히 낮은 사람일 뿐이다(至卑者耳). 군주가(主) 오히려(尚) 예로써 그들을 대접했으니(接之以禮), 하물며(況) 다섯 등급의 제후에 대해서는 어떠했겠는가(於五等諸侯), 이것은(是) 널리 공경함이다(廣敬也). 그러므로(故) 많은 나라의 환심을 얻어(得萬國之懽心, 以) 자기 선왕을 섬겼다(事其先王). 《만국은(萬國), 그 많음을 든 것이다(舉其多也). 효도를 행하여(行孝道, 以) 천하를 다스리는 것은(理天下), 모두(皆) 환심을 얻으면(得歡心, 則) 각자(各) 자기 직을 가지고(以其職) 와서(來) 제사를 돕는다는(助祭) 말이다(也).

 

【疏】子曰至先王. ○正義曰: 此章之首稱'子曰'者, 爲事訖, 更別起端首故也. 言昔者聖明之王, 能以孝道治於天下, 大教接物, 故不敢遺小國之臣, 而況於五等之君乎? 言必禮敬之. 明王能如此, 故得萬國之懽心, 謂各脩其德, 盡其懽心而來助祭, 以事其先王. 經'先王'有六焉, 一曰'先王有至德', 二曰'非先王之法服', 三曰'非先王之法言', 四曰'非先王之德行', 五曰'先王見教之', 此皆指先代行孝之王. 此章云'以事其先王', 則指行孝王之祖考. 

【疏】자왈부터 선왕까지(子曰至先王). ○正義曰: 이 장의 머리에서(此章之首) 자왈이라고 일컬은 것은(稱'子曰'者), 일이 마무리되고(爲事訖), 다시(更) 별도로(別) 첫머리를 일으키기 때문이다(起端首故也). 옛날(昔者) 성스럽고 밝은 왕이(聖明之王), 효도로(以孝道) 천하를 다스려(治於天下), 접하는 대상을 크게 가르칠 수 있었고(大教接物), 그러므로(故) 감히 소국의 신하를 버리지 않았는데(不敢遺小國之臣, 而) 하물며(況) 다섯 등급의 임금에 대해서는 어떠했겠는가(於五等之君乎)하는 말이다(言). 반드시(必) 그들을 예로 대하고 공경했다는(禮敬之) 말이다(言). 명왕은(明王) 이와 같이 할 수 있고(能如此), 그러므로(故) 만국의 환심을 얻었고(得萬國之懽心), 각자(各) 자기 덕을 닦아(脩其德), 자기 환심을 다해서(盡其懽心而) 와서 제사를 돕고(來助祭, 以) 그 선왕을 섬겼다는(事其先王) 말이다(謂). 경에(經) 선왕이('先王') 6번 있으니(有六焉), 첫째(一曰) '선왕에게 지극한 덕이 있다(先王有至德)', 둘째(二曰) '선왕의 예에 맞는 의복이 아니다(非先王之法服)', 셋째(三曰) '선왕의 예에 맞는 말이 아니다(非先王之法言)', 넷째(四曰) '선왕의 예에 맞는 행실이 아니다(非先王之德行)', 다섯째(五曰) '선왕이 가르침을 보았다(先王見教之)', 이것은(此) 모두(皆) 선대에(先代) 효를 행한 왕을(行孝之王) 가리킨다(指). 이 장에서(此章) 그 선왕을 모신다라고 말한 것은(云'以事其先王', 則) 효를 행하는 왕의(行孝王之) 조고를 가리킨다(祖考).

 

○注言先至孝理. ○正義曰: 此釋'孝治'之義也. 《國語》云: "古曰在昔, 祖曰先民." 《尚書·洪範》云: "睿作聖." 《左傳》: "照臨四方曰明." '昔者'非當時代之名, '明王'則聖王之稱也, 是汎指前代聖王之有德者. 經言'明王', 還指首章之'先王'也. 以代言之, 謂之先王; 以聖明言之, 則爲明王. 事義相同, 故注以至德要道釋之. 

○注언선부터 효리까지(言先至孝理). ○正義曰: 이것은(此) 효치의 뜻을('孝治'之義) 해석한 것이다(也). 국어에 이르길(《國語》云): "옛날은(古) 예전이고(曰在昔), 조상은(祖) 선대의 민이다(曰先民)."라고 했다. 상서 홍범에 이르길(《尚書·洪範》云): "슬기로운 것이(睿) 성이다(作聖)."라고 했다. 좌전에서(《左傳》): "사방을 비추는 것이(照臨四方) 명이다(曰明)."라고 했다. 석자는('昔者') 당시대의 이름이 아닌 것이고(非當時代之名), 명왕은('明王'則) 성왕을 일컬은 것이니(聖王之稱也), 이것은(是) 전대의 성왕 중에서(前代聖王之) 덕이 있던 사람을(有德者) 널리 지칭한 것이다(汎指). 경에서(經) 명왈을 말한 것은(言'明王'), 첫 장의 선왕을(首章之'先王') 다시 가리킨 것이다(還指也). 시대를 가지고 말하면(以代言之), 선왕이라고 말하고(謂之先王); 성명을 가지고 말하면(以聖明言之, 則) 명왕이 된다(爲明王). 일의 뜻이(事義) 서로 같고(相同), 그러므로(故) 주에서(注) 지덕요도로(以至德要道) 풀이했다(釋之). 

 

* 照臨(조림): 해나 달이 위에서 내리 비침.

 

○注小國至敬也. ○正義曰: 此依王注義也. 五等諸侯, 則公·侯·伯·子·男. 舊解云: 公者正也, 言正行其事; 侯者候也, 言斥候而服事; 伯者長也, 爲一國之長也; 子者字也, 言字愛於小人也; 男者任也, 言任王之職事也. 

○注소국부터 경야까지(小國至敬也). ○正義曰: 이것은(此) 왕주의 뜻을 따랐다(依王注義也). 다섯 등급의 제후는(五等諸侯, 則) 공, 후, 백, 자, 남이다(公·侯·伯·子·男). 옛 해석에서 이르길(舊解云): 공이란(公者) 바름이니(正也), 그 일을 바르게 행함을 말하고(言正行其事); 후란(侯者) 살핌이니(候也), 살펴서 일에 복무한다는 말이고(言斥候而服事); 백이란(伯者) 어른이니(長也), 한 나라의 어른이 되고(爲一國之長也); 자는(子者) 사랑함이니(字也), 아랫사람에게 자애롭다는 말이고(言字愛於小人也); 남이란(男者) 맡음이니(任也), 왕의 직분과 일을 맡는 것을 말한다(言任王之職事也).

 

* 斥候(척후): 적()의 형편(便)이나 지형() 따위를 정찰()하고 탐색()함.

 

爵則上皆勝下, 若行事亦互相通. 《舜典》曰: "輯五瑞." 孔安國曰: "舜斂公·侯·伯·子·男之瑞圭璧." 斯則堯舜之代巳有五等諸侯也. 《論語》云: "殷因於夏禮, 周因於殷禮." 案《尚書·武成篇》云: "列爵惟五分, 土惟三." 鄭注《王制》云: "殷所因夏爵, 三等之制也. 是有公·侯·伯而無子·男. 武王增之, 揔建五等. 時九州界狹, 故土惟三等, 則《王制》云: '公·侯方百里, 伯七十里, 子·男五十里. 至周公攝政, 斥大九州之界, 增諸侯之大者地方五百里, 侯四百里, 伯三百里, 子二百里, 男百里.' '然據鄭玄, 夏·殷不建子·男, 武王復增之也. 案五等, 公爲上等, 侯·伯爲次等, 子·男爲下等, 則小國之臣謂子·男卿·大夫, 況此諸侯則至卑也. 《曲禮》云: "列國之大夫, 入天子之國, 曰『某士』." 諸侯言列國者, 兼小大. 是小國之卿·大夫有見天子之禮也. 言雖至卑, 盡來朝聘, 則天子以禮接之. 案《周禮·掌客》云: 王公饔餼九牢, 飱五牢; 侯·伯饔餼七牢, 飱四牢; 子·男饔餼五牢, 飧三牢: 三等. 其五等之介行人宰史, 皆有飱·饔餼, 唯上介有禽獸. 其卿·大夫·士有特來聘問者, 則待之如其爲介時也. 是待諸侯及其臣之禮, 是皆廣敬之道也. 

爵則上皆勝下, 若行事亦互相通. 《舜典》曰: "輯五瑞." 孔安國曰: "舜斂公·侯·伯·子·男之瑞圭璧." 斯則堯舜之代巳有五等諸侯也. 《論語》云: "殷因於夏禮, 周因於殷禮." 案《尚書·武成篇》云: "列爵惟五分, 土惟三." 鄭注《王制》云: "殷所因夏爵, 三等之制也. 是有公·侯·伯而無子·男. 武王增之, 揔建五等. 時九州界狹, 故土惟三等, 則《王制》云: '公·侯方百里, 伯七十里, 子·男五十里. 至周公攝政, 斥大九州之界, 增諸侯之大者地方五百里, 侯四百里, 伯三百里, 子二百里, 男百里.' '然據鄭玄, 夏·殷不建子·男, 武王復增之也. 案五等, 公爲上等, 侯·伯爲次等, 子·男爲下等, 則小國之臣謂子·男卿·大夫, 況此諸侯則至卑也. 《曲禮》云: "列國之大夫, 入天子之國, 曰『某士』." 諸侯言列國者, 兼小大. 是小國之卿·大夫有見天子之禮也. 言雖至卑, 盡來朝聘, 則天子以禮接之. 案《周禮·掌客》云: 王公饔餼九牢, 飱五牢; 侯·伯饔餼七牢, 飱四牢; 子·男饔餼五牢, 飧三牢: 三等. 其五等之介行人宰史, 皆有飱·饔餼, 唯上介有禽獸. 其卿·大夫·士有特來聘問者, 則待之如其爲介時也. 是待諸侯及其臣之禮, 是皆廣敬之道也. 

 

○注萬國至祭也. ○正義曰: 云'萬國, 舉其多也'者, 此依魏注也. 《詩》·《書》之言萬國者多矣, 亦猶言萬方, 是舉多而言之, 不必數滿於萬也. 皇侃云: "《春秋》稱『禹會諸侯於塗山, 執玉帛者萬國』, 言禹要服之內, 地方七千里, 而置九州. 九州之中, 有方百里·七十里·五十里之國, 計有萬國也. 因引《王制》殷之諸侯有千七伯七十三國也. 《孝經》稱周諸侯有九千八百國, 所以證萬國爲夏法也." 信如此說, 則《周頌》云'綏萬邦', 《六月》云'萬邦爲憲', 豈周之代復有萬國乎? 今不取也. 云'言行孝道, 以理天下, 皆得懽心, 則各以其職來助祭也'者, 言明王能以孝道理於天下, 則得諸侯之懽心, 以事其先王也. 各以其職來祭者, 謂天下諸侯各以其所職貢來助天子之祭也. 和者, 《禮器》云: "大饗其王事與!'注云: "盛其饌與貢, 謂祫祭先王." 又云: "三牲·魚腊, 四海九州之美味也. 籩豆之薦, 四時之和氣也." 注云: "此饌, 諸侯所獻." 又云: "內金, 示和也." 注云: "此所貢也, 內之庭實先設之. 今從革, 性和, 荊·楊二州貢金三品." 又云: "束帛加璧, 尊德也." 注云: "貢享所執致命者, 君子於玉比德焉." 又云: "龜爲前列, 先知也." 注云: "龜知事情者, 陳於庭, 在前. 荊州納錫大龜." 又云: "金次之, 見情也." 注云: "金炤物. 金有兩義, 先入後設." 又云: "丹·漆·絲·纊·竹·箭, 與眾共財也." 注云: "萬民皆有此物, 荊州貢丹, 兖州貢漆·絲, 豫州貢纊, 楊州貢蓧簜." 又云: "其餘無常貨, 各以國之所有, 則致遠物也." 注云: "其餘, 謂九州之外夷服·鎮服·蕃服之國. 《周禮》九州之外謂之蕃國, 世一見, 各以其所貴寶爲贄. 周穆王征大戎, 得白狼白鹿, 近之." 《大傳》云: "遂率天下諸侯, 執豆籩, 駿奔走." 又《周頌》曰: "駿奔走在廟." 此皆助祭者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