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 뒤안길/효경주소(孝經注疏)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4)] 문장을 짓고 저술하는 것을 제(製), 실마리 또는 단서를 서(序)라고 한다

by मोक्ष 2023. 12. 11.
반응형

서문은 보통 문학작품이나 책의 주제를 소개한 글이다. 여기서는 여러 고전을 인용해서 '서(序)'란 '단서', '실마리'를 뜻한다고 말했다. 결국 황제가 이 경문의 실마리를 적고 직접 주를 내었으므로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가 된 것이다. 

 

○製者, 裁翦述作之謂也. 故《左傳》曰: "子有美錦, 不使人學製焉." 取此美名, 故人之文章述作, 皆謂之製. 以此序唐玄宗所撰, 故云御製也. 

○제란(製者), 마름질하고 잘라서(裁翦) 짓는 것을 말한다(述作之謂也). 그러므로 좌전에서 말하길(故《左傳》曰): "그대에게(子) 아름다운 비단이 있다면(有美錦), 남을 시켜서(使人) 그것으로 마름질을 배우게 하지 않을 것이다(學製焉)."라고 했다. 이 아름다운 이름에서 취했고(取此美名), 그러므로(故) 사람의 문장(人之文章) 짓는 것을(述作), 모두(皆) 제라고 한다(謂之製). 이 서는(此序) 당나라 현종이 지은 것이기 때문에(唐玄宗所撰, 故) 어제라고 한다(云御製也).

 

玄宗, 唐弟六帝也, 諱隆著, 睿宗之子, 以延和元年即位, 時年三十三. 在位四十五年, 年七十八登遐, 謚曰明孝皇帝, 廟號玄宗. 開元十年, 製經序并注. 

현종은(玄宗), 당나라 제6대 황제이고(唐弟六帝也), 이름이 융기로(諱隆著 [基]), 예종의 아들이며(睿宗之子, 以) 정화 원년에(延和元年) 즉위했는데(即位), 당시 나이가(時年) 33세였다(三十三). 자리에 45년 있었고(在位四十五年), 나이(年) 78세에 죽었으며(七十八登遐), 시호를 명효황제라고 했고(謚曰明孝皇帝), 묘호를 현종이라고 했다(廟號玄宗). 개원 10년에(開元十年), 경문의 서문과 함께 주를(經序并注) 지었다(製).

 

序者, 按《詩·頌》云: "繼序思不忘." 《毛傳》云: "序, 緒也." 又《釋詁》云: "敘, 緒也." 是序與敘音義同. 郭璞云: "又為端緒." 然則此言緒者, 舉一經之端緒耳. 

서란(序者), 시경 주송에서 말하길(按《詩·頌》云): "실마리를 이어서(繼序思) 잊지 않겠다(不忘)."라고 했다. 모전에 이르길(《毛傳》云): "서란(序), 실마리다(緒也)."라고 했다. 또(又) 석고에서 말하길(《釋詁》云): "서(실마리)가(敘), 서이다(緒也)."라고 했다. 이 서와(是序與) 서의 음과 뜻이 같다(敘音義同). 곽박이 말하길(郭璞云): "또(又) 단서가 된다(為端緒)."라고 했다. 그렇다면(然則) 이(此) 서라고 말한 것은(言緒者), 한 경문의 실마리를(一經之端緒) 들어 말한 것뿐이다(舉耳). 

 

○并注者, 并, 兼也; 注, 著也, 解釋經指, 使義理著明也. 言非但製序, 兼亦作注, 故云并也. 

○병주에서(并注者), 병이란(并), 아우른다는 뜻이고(兼也); 주란(注), 드러낸다는 뜻이니著也, 경문이 가리키는 것(요지)를 해석하여(解釋經指), 의리가 드러나도록(義理著明) 하는 것이다(使也). 말하자면(言) 단지 서문을 지은 것뿐만 아니라(非但製序), 아울러(兼) 또한 주를 지었고(亦作注), 그러므로(故) 병이라고 했다(云并也). 

 

 

* 繼序思不忘: ≪詩經≫ 〈周頌 閔予小子〉에 보인다. 周 成王이 文王과 武王을 잊지 못한다고 스스로 말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