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통론(通論) 2-101] 자식과 신하는 간쟁하지 않을 수 없다

by मोक्ष 2024. 10. 20.
반응형

天子有爭臣七人, 雖無道, 不失其天下. 諸侯有爭臣五人, 雖無道, 不失其國. 大夫有爭臣三人, 雖無道, 不失其家. 士有爭友, 則身不離於令名. 父有爭子, 則身不陷於不義. 

천자에게(天子) 간쟁하는 신하(爭臣) 일곱이 있으면(七人), 비록(雖) 도가 없더라도(無道), 천하를 잃지 않는다(不失其天下). 제후에게(諸侯) 간쟁하는 신하 다섯이 있으면(有爭臣五人), 비록 도가 없더라도(雖無道), 나라를 잃지 않는다(不失其國). 대부에게 간쟁하는 신하 셋이 있으면(大夫有爭臣三人), 비록 도가 없더라도(雖無道), 그 집안을 잃지 않는다(不失其家). 사에게(士) 간쟁하는 벗이 있으면(有爭友, 則) 몸이(身) 아름다운 명성에서(於令名) 떠나지 않는다(不離). 아버지에게(父) 간쟁하는 아들이 있으면(有爭子, 則) 몸이(身) 불의에 빠지지 않는다(不陷於不義). 


[集說] 陳氏曰爭, 諫也. 父有爭子, 通上下言. 不義, 卽無道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쟁은(爭), 간하는 것이다(諫也). 아버지에게 간쟁하는 자식이 있는 것은(父有爭子), 상하를 통틀어(通上下) 말한 것이다(言). 불의는(不義), 바로 무도다(卽無道也).

故當不義, 則子不可以弗爭於父, 臣不可以弗爭於君.(고당불의 즉자불기아부쟁어부 신불가이부쟁어군)

그러므로(故) 불의를 당하면(當不義, 則) 자식은(子) 아버지에게(於父) 간하지 않을 수 없고(不可以弗爭), 신하는 임금에게 간하지 않을 수 없다(臣不可以弗爭於君).


[集解] 范氏曰子不爭則陷父於不義, 臣不爭則陷君於無道.

[集解] 범씨가 말하길(范氏曰) 자식이(子) 간하지 않으면(不爭則) 아버지를(父) 불의에 빠뜨리는 것이고(於不義), 신하가 간하지 않으면(臣不爭則) 임금을 무도에 빠뜨리는 것이다(陷君於無道).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