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심술(明心術) 3-1] 공경과 의리가 게으름과 사욕을 이겨야 한다

by मोक्ष 2024. 10. 22.
반응형

丹書曰, 敬勝怠者, 吉. 怠勝敬者, 滅. 義勝欲者, 從. 欲勝義者, 凶.

단서에 이르길(丹書曰), 공경이(敬) 게으름을 이기는 사람은(勝怠者), 길하다(吉). 게으름이(怠) 공경함을 이기는 사람은(勝敬者), 망한다(滅). 의리가(義) 사욕을 이기는 사람은(勝欲者), 순하고(從), 사욕이 의리를 이기는 사람은(欲勝義者), 흉하다(凶).

[集解] 丹書, 見大戴禮. 敬者, 主一無適之謂, 怠, 惰慢. 滅, 亡也. 義者, 天理之公, 欲者, 人欲之私. 從, 順也. 眞氏曰師尙父之告武王, 不出敬與義之二言, 盖敬則萬善俱立, 怠則萬善俱廢, 義則理爲之主, 欲則物爲之主, 吉凶存亡之所由分也.

[集解] 단서는(丹書), 대대례에 보인다(見大戴禮). 경이란(敬者), 하나를 위주로 하고(主一) 가지 않는 것을(無適之) 말한다(謂), 태는(怠), 게으름이다(惰慢). 멸은 망함이다(滅, 亡也). 의란(義者), 천리의 공정함이고(天理之公), 욕이란 인욕의 사사로움이다(欲者, 人欲之私). 종은 순함이다(從, 順也).

진씨가 말하길(眞氏曰) 사상보가(師尙父之) 무왕에게 고할 때(告武王), 경과 의의(敬與義之) 두 가지 말을(二言) 벗어나지 않았고(不出), 대개(盖) 공경하면(敬則) 온갖 선이(萬善) 모두 서고(俱立), 게으르면(怠則) 온갖 선이(萬善) 모두 없어지고(俱廢), 의로우면(義則) 이치가 주가 되고(理爲之主), 욕심부리면(欲則) 물욕이 주가 되니(物爲之主), 길흉과 존망이(吉凶存亡之) 따라 나뉘는 것이다(所由分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