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禮記曰, 君無故不殺牛.(군무고불살우) 大夫無故不殺羊.(대부무고불살양) 士無故不殺犬豕.(사무고불살견시) 君子遠庖廚, 凡有血氣之類弗身踐也.(군자원포주 범유혈기지류불신천야)
예기에 이르길(禮記曰), 임금은(君) 까닭 없이(無故) 소를 죽이지 않았다(不殺牛). 대부는(大夫) 까닭 없이(無故) 양을 죽이지 않았다(不殺羊). 사는(士) 까닭 없이(無故) 개와 돼지를 죽이지 않았다(不殺犬豕). 군자는(君子) 푸줏간을 멀리했으니(遠庖廚), 대체로(凡) 혈기가 있는 부류를(有血氣之類) 몸소 죽이지 않았다(弗身踐也).
[集說] 陳氏曰故, 謂祭祀及賓客饗食之禮也. 庖, 宰殺之所, 廚, 烹飪之所. 身, 親也. 踐, 當作翦, 殺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고는(故), 제사와 손님을 맞이하여(祭祀及賓客) 음식을 올리는(饗食之) 예를(禮) 말한다(謂也). 포는(庖), 도살하는 곳이고(宰殺之所), 주는 익히는 곳이다(廚, 烹飪之所). 신은 몸소다(身, 親也). 천은 전으로 써야 하고(踐, 當作翦), 죽이는 것이다(殺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음식(明飮食) 3-46] 음식지인(飮食之人) / 입과 배를 기르는 사람 (0) | 2024.11.01 |
---|---|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음식(明飮食) 3-45] 일헌지례(一獻之禮) / 선왕이 만든 술 마시는 법도 (0) | 2024.11.01 |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음식(明飮食) 3-43] 유주무량 불급난(唯酒無量 不及亂) / 밥 먹고 술 마시는 공자의 예절 (0) | 2024.11.01 |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음식(明飮食) 3-42] 시식어군자(侍食於君子) / 군자를 모시고 밥 먹을 때의 예절 (0) | 2024.11.01 |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음식(明飮食) 3-41] 음식 먹을 때의 예절 (0)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