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주소(論語注疏)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5] 지나간 것을 일러주니 올 것을 아는구나 / 고저왕이지래(告諸往而知來)

by मोक्ष 2024. 2. 26.
반응형

子貢曰: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빈이무첨 부이무교 하여) 子曰: "可也.(가야)  孔曰: "未足多."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미약빈이락 부이호례자야)  鄭曰: "樂, 謂志於道, 不以貧爲憂苦." 子貢曰: "《詩》云『如切如磋, 如琢如磨』, 其斯之謂與?"(시운 여절여차 여탁여마 기사지위여)  孔曰: "能貧而樂道, 富而好禮者, 能自切磋琢磨." 子曰: "賜也, 始可與言《詩》已矣, 告諸往而知來者."(사야 시가여언시이의 고저왕이지래자) 孔曰: "諸, 之也. 子貢知引《詩》以成孔子義, 善取類, 故然之. 往告之以貧而樂道, 來荅以切磋琢磨." 

子貢曰: "가난하지만(貧而) 아첨하지 않고(無諂), 부유하지만(富而) 교만하지 않으면(無驕), 어떤가요(何如)?"라고 했다.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괜찮다(可也). 孔曰: "자랑하기에 충분하지 않다(未足多)." 가난하지만 즐기고(貧而樂), 부유하지만 예를 좋아하는 것만(富而好禮者) 못하다(未若也)."라고 했다. 鄭曰: "락은(樂), 도에 뜻을 두고(志於道), 가난함을 근심과 걱정으로 여기지 않는다는(不以貧爲憂苦) 말이다(謂)." 자공이 말하길(子貢曰): "시에 이르길(《詩》云) '자른 것 같고 간 것 같고(如切如磋), 쪼은 것 같고 민 것 같다(如琢如磨)'란, 아마(其) 이것을 말한 것인가요(斯之謂與)?"라고 했다. 孔曰: "가난하지만 도를 즐기고(能貧而樂道), 부유하지만 예를 좋아할 수 있는 것은(富而好禮者), 스스로 절차탁마할 수 있는 것이다(能自切磋琢磨)."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사는(賜也), 비로소(始) 함께 시를 말할 수 있겠구나(可與言《詩》已矣), 지나간 것을 일러주니(告諸往而) 올 것을 아는구나(知來者)."라고 했다. 孔曰: "저(諸)는, 지다(之也). 자공이(子貢) 시를 인용해서(引《詩》以) 공자의 뜻을 이룰 줄(成孔子義) 알았으니(知), 비슷한 류를 잘 모았고(善取類), 그러므로(故) 이렇게 했다(然之). 왕은(往) 빈이락도로 일러준 것이고(告之以貧而樂道), 래는(來) 절차탁마로 답한 것이다(荅以切磋琢磨)." 

 

[疏]‘子曰’至‘來者’(자왈부터 래자까지)

 

○正義曰:此章言貧之與富皆當樂道自脩也.

○正義曰: 이 장은(此章)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이(貧之與富) 모두(皆) 마땅히(當) 도를 즐기고(樂道) 자기를 닦아야 한다는(自脩) 말이다(也).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者, 乏財曰貧, 佞說爲諂, 多財曰富, 傲逸爲驕. 言人貧多佞說, 富多傲逸. 若能貧無諂佞, 富不驕逸, 子貢以爲善, 故問夫子曰 “其德行何如.”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者], 재물이 없는 것을 빈이라 하고(乏財曰貧), 아첨하며 말하는 것을 첨이라 하고(佞說爲諂), 재물이 많은 것을 부라 하고(多財曰富), 거만하고 방자한 것을 교라 한다(傲逸爲驕). 사람이 가난하면(人貧) 아첨하는 말이 많고(多佞說), 부유하면(富) 거만한 경우가 많다는(多傲逸) 말이다(言). 만약(若) 가난함에도 아첨하지 않을 수 있고((能貧無諂佞), 부유함에도 교만하지 않을 수 있으면(富不驕逸), 자공은(子貢) 좋다고 여겼고(以爲善), 그러므로(故) 선생님께 물어 말하길(問夫子曰) “그 덕과 행실이(其德行) 어떤가요(何如).”라고 했다.

‘子曰 可也’者, 此夫子答子貢也. 時子貢富志怠於學, 故發此問, 意謂不驕而爲美德, 故孔子抑之云“可也” 言未足多.

[‘子曰 可也’者], 이것은(此) 선생님이 자공에 답한 것이다(夫子答子貢也). 당시(時) 자공이 부유하고(子貢富) 뜻이(志) 학문하는 것에 게을렀고(怠於學), 그러므로(故) 이런 질문이 나왔으니(發此問), 뜻은(意) 교만하지 않으면 미덕이 된다고 말한 것이고(謂不驕而爲美德), 그러므로(故) 공자가 그것을 억눌러 말하길(孔子抑之云) “괜찮다(可也)”라고 했으니, 충분하지 않다는 말이다(言未足多).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者, 樂, 謂志於善道, 不以貧爲憂苦. 好, 謂閑習禮容, 不以富而倦略. 此則勝於無諂無驕, 故云“未若” 言不如也.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者], 락은(樂), 선도에 뜻을 두고(志於善道), 가난함으로 걱정과 근심이 되지 않는다는(不以貧爲憂苦) 말이다(謂). 호는(好), 예용을 익혀(閑習禮容), 부유함으로(以富而) 게으르거나 소홀히 하지 않는다는(倦略) 말이다(謂). 이것이라면(此則) 무첨무교를 이기는 것이고(勝於無諂無驕), 그러므로 말하길(故云) 미약이라고 해서(“未若”), 못하다는 말이다(言不如也).

 

* 禮容(예용): 예의() 바른 차림새나 태도().

 

‘子貢曰 詩云 如切如磋, 如琢如磨, 其斯之謂與’者, 子貢知師勵己, 故引詩以成之. 此衛風淇奧之篇, 美武公之德也. 治骨曰切, 象曰瑳, 玉曰琢, 石曰磨. 道其學而成也, 聽其規諫以自脩, 如玉石之見琢磨. 子貢言 “貧而樂道, 富而好禮, 其此能切磋琢磨之謂與.”

[‘子貢曰 詩云 如切如磋, 如琢如磨, 其斯之謂與’者], 자공은(子貢) 스승이 자기를 격려하는 것을 알았고(知師勵己), 그러므로(故) 시를 인용해서(引詩以) 이루었다(成之). 이것은(此) 위풍 기욱 편으로(衛風淇奧之篇), 무공의 덕을 찬양한 것이다(美武公之德也). 뼈를 다스리는 것을 절이라 하고(治骨曰切), 상아를 다스리는 것을 차라 하고(象曰瑳), 옥을 다스리는 것을 탁이라 하고(玉曰琢), 돌을 다스리는 것을 마라 한다(石曰磨). 그의 학문이 이루어진 것을 말했고(道其學而成也), 그 옳은 도리로 간하는 것을 듣고(聽其規諫以) 자기를 닦은 것이(自脩), 마치(如) 옥석이(玉石之) 쪼이고 미는 일을 당한 것과 같다는 것이다(見琢磨). 자공이 말하길(子貢言) “가난하지만(貧而) 도를 즐기고(樂道), 부유하지만(富而) 예를 좋아하면(好禮), 아마 이것을(其此) 절차탁마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能切磋琢磨之謂與).”라고 했다.

 

* 規諫(규간): 옳은 도리()로 간()함.

 

‘子曰 賜也 始可與言詩已矣’者, 子貢知引詩以成孔子義, 善取類, 故呼其名而然之.

[‘子曰 賜也 始可與言詩已矣’者], 자공이(子貢) 시를 인용해서(引詩以) 공자의 뜻을 이룰 줄(成孔子義) 알았으니(知), 비슷한 것을 잘 취했고(善取類), 그러므로(故) 그 이름을 불러(呼其名而) 이렇게 <말했다>(然之).

 

‘告諸往而知來者’者, 此言可與言詩之意. 諸, 之也, 謂告之往以貧而樂道富而好禮, 則知來者切磋琢磨, 所以可與言詩也.

[‘告諸往而知來者’者], 이것은(此) 함께 시를 말할 수 있다는 뜻을 말한 것이다(言可與言詩之意). 저는(諸), 지이고(之也), 지나간 것을(往) 빈이락도 부이호례로(以貧而樂道富而好禮) 그에게 일러주니(謂告之, 則) 올 것인(來者) 절차탁마를(切磋琢磨) 알았고(知), 그러므로(所以) 함께 시를 말할 수 있다는(可與言詩也)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