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불환인지부기지 환부지인야)
子曰: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人之不己知) 걱정하지 않고(不患), <내가> 남을 알지 못하는 것을 걱정한다(患不知人也)."라고 했다.
【疏】「子曰: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正義曰: 此章言人當責己而不責人. 凡人之情, 多輕易於知人, 而患人不知己, 故孔子抑之云: "我則不耳. 不患人之不己知, 但患己不能知人也."
○正義曰: 이 장은(此章) 사람은(人) 마땅히(當) 자기를 책망하고(責己而) 남을 책망하지 말아야 한다(不責人)는 말이다(言). 보통(凡) 사람의 마음이(人之情), 남을 알아주는 것에(於知人) 많이 가볍게 여기면서(多輕易, 而)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걱정하고(患人不知己), 그러므로(故) 공자가(孔子) 그것을 눌러 말하길(抑之云): "나라면(我則) <그렇게> 하지 않는다(不耳). 남이 나를 알아주는 것을(人之不己知) 걱정하지 않고(不患), 다만(但) 내가 남을 알 수 없는 것을 걱정한다(患己不能知人也)."라고 했다.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2] 시에는 사특함이 없다 / 사무사(思無邪) (0) | 2024.03.02 |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 뭇별이 북신을 함께 받든다 / 중성공지(衆星共之) (0) | 2024.03.01 |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5] 지나간 것을 일러주니 올 것을 아는구나 / 고저왕이지래(告諸往而知來) (0) | 2024.02.26 |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4] 군자는 배부르고 편안하기를 구하지 않는다 / 식무구포(食無求飽) (0) | 2024.02.24 |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3] 약속이 의에 가까우면... / 신근어의(信近於義) (0) | 202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