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주소(論語注疏)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 뭇별이 북신을 함께 받든다 / 중성공지(衆星共之)

by मोक्ष 2024. 3. 1.
반응형

【疏】正義曰: 《左傳》曰'學而後入政', 故次前篇也. 此篇所論孝敬信勇爲政之德也, 聖賢君子爲政之人也, 故以'爲政'冠於章首, 遂以名篇. 

子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而衆星共之."(위정이덕 비여북신 거기소이중성공지) 包曰: "德者無爲, 猶北辰之不移而衆星共之."

子曰: "덕으로 정치하는 것은(爲政以德), 비유하자면(譬) 북극성이(北辰), 제자리에 머물고(居其所而) 뭇별이 함께 받드는 것과(衆星共之) 같다(如)."라고 했다.  包曰: "덕이란(德者) 하는 일이 없음이니(無爲), 북신이(北辰之) 움직이지 않고(不移而) 뭇별이 받드는 것과(衆星共之) 같다(猶)."라고 했다.

 

[疏]‘子曰’至‘共之’

 

○正義曰:此章言爲政之要.

○正義曰: 이 장은(此章) 정치하는 요체를 말했다(言爲政之要).


‘爲政以德’者, 言爲政之善, 莫若以德. 德者, 得也, 物得以生, 謂之德. 淳德不散, 無爲化淸, 則政善矣.

[‘爲政以德’者], 정치의 가장 좋은 것은(言爲政之善), 무엇도(莫若) 덕으로 하는 것만 못하다(以德). 덕이란(德者), 얻음이니(得也), 만물이(物) 얻어서 태어난 것을(得以生), 덕이라 한다(謂之德). 순박한 덕이(淳德) 흩어지지 않고(不散), 하는 일이 없이(無爲) 교화가 맑아지면(化淸, 則) 정치가 좋아진다(政善矣).


‘譬如北辰居其所 而衆星共之’者, 譬, 況也. 北極謂之北辰. 北辰常居其所而不移, 故衆星共尊之, 以況人君爲政以德, 無爲淸靜, 亦衆人共尊之也.

[‘譬如北辰居其所 而衆星共之’者], 비는(譬), 비유이다(況也). 북극을(北極) 북신이라고 한다(謂之北辰). 북신은(北辰) 늘(常) 제 자리에 머물고(居其所而) 움직이지 않고(不移), 그러므로(故) 뭇별이(衆星) 함께 받드니(共尊之), 이것으로(以) 임금이 덕으로 정치해서(人君爲政以德), 하지 않고도 교화가 맑으면(無爲淸靜), 또한(亦) 뭇사람이(衆人) 함께 받드는 것을(共尊之) 비유했다(也).

[疏]○注 ‘包曰’至‘共之’

 

○正義曰: 案爾雅釋天云 “北極謂之北辰.”

○正義曰: 이아 석천에서 말한 것을 살펴보면(案爾雅釋天云) “북극을(北極) 북신이라고 했다(謂之北辰).”

 

郭璞曰 “北極, 天之中, 以正四時.” 然則極, 中也, 辰, 時也. 以其居天之中, 故曰北極, 以正四時, 故曰北辰.

郭璞曰 “북극은(北極), 하늘의 중심이라서(天之中, 以) 사시를 바르게 한다(正四時).”라고 했다. 그렇다면(然則) 극은(極), 중이고(中也), 신은(辰), 때다(時也). 하늘의 중심에 머무르고(以其居天之中), 그러므로(故) 북극이라 했고(曰北極), 그것으로(以) 사시를 바르게 하고(正四時), 그러므로(故) 북신이라 했다(曰北辰).

 

漢書天文志曰 “中宮太極星, 其一明者, 泰一之常居也. 旁三星, 三公. 環之匡衛十二星, 藩臣. 皆曰紫宮. 北斗七星, 所謂琁璣玉, 以齊七政. 斗爲帝車, 運於中央, 臨制四海. 分陰陽, 建四時, 均五行, 移節度, 定諸紀, 皆繫於斗.” 是衆星共之也.

한서 예문지에서 말하길(漢書天文志曰) “중궁태극성은(中宮太極星), 그것이(其) 가장 밝은 것으로(一明者), 태일(상제)이(泰一之) 늘 머문다(常居也). 주변의 세 별은(旁三星), 삼공이다(三公). 그것을 둘러싸고(環之) 보호하는 12성은(匡衛十二星), 번신이다(藩臣). 모두(皆) 자궁이라고 한다(曰紫宮). 북두칠성은(北斗七星), 이른바(所謂) 선기옥으로(琁璣玉), 그것으로(以) 칠정을 고르게 한다(齊七政). 두는(斗) 황제의 수레가 되어(爲帝車), 가운데서 운행하고(運於中央), 사해를 다스리고 통제한다(臨制四海). 음양을 나누고(分陰陽), 사시를 세우고(建四時), 오행을 고르게 하고(均五行), 절도를 옮기고(移節度), 제기를 정하는 것은(定諸紀), 모두(皆) 북두에 달렸다(繫於斗).”라고 했다. 바로( 是) 뭇별이(衆星) 함께 받드는 것이다(共之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