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주소(論語注疏)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2] 시에는 사특함이 없다 / 사무사(思無邪)

by मोक्ष 2024. 3. 2.
반응형

子曰: "《詩》三百,(시삼백) 《孔曰: "篇之大數."》 一言以蔽之.(일언이폐지) 《包曰: "蔽,猶當也."》 曰: '思無邪.'(왈사무사) 《包曰: "歸於正."

子曰: "시 300 편은(《詩》三百), 《孔曰: "편의 큰 수다(篇之大數)."》 한 마디로 덮으면(一言以蔽之). 《包曰: "폐(蔽)는, 덮음과 같다(猶當也)."》 말하길(曰): '생각함에(思) 사악함이 없다(無邪).'라고 했다. 《包曰: "바름에 돌아간다(歸於正)."》

 

[]‘

 

: , , .

: 이 장은(章) 정치하는 도가(道), 사악함을 없애고 바름에 돌아오게 하는 것에 있음을(正) 말했고(言), 그러므로(故) 시의 중요하고 합당한(當) 한 구를 들어(以) 말했다(之).

 

* 當(요당): 중요하고 합당함.

 

, .

[‘者], 시 편의 큰 수를 말한 것이다(也).

 

, , . . , .

[‘者], 폐는(蔽), 덮음과 같다(也). 옛날에는(者) 한구를 말해서(句) 일언이라 했다(言). 시가(詩) 비록(雖) 300 편이 있을 정도로(之) 많지만(多), 한 구를 들어(句) 그 이치를 다 덮을 수 있다는 말이다(也).

 

‘曰思無邪’者, 此詩之一言, 魯頌駉篇文也. 詩之爲體, 論功頌德, 止僻防邪, 大抵皆歸於正, 故此一句可以當之也.

[‘者], 이것은(此) 시의(之) 한 구절이고(言), 노송 경 편의 글이다(也). 시의 체가 되는 것은(뜻은)(體), 공을 논하고(功) 덕을 칭송하고(德), 바르지 못함을 막고(僻) 사악함을 방비해서(邪), 대체로(抵) 모두(皆) 바름에 돌아가게 하고(正), 그러므로(故) 이 한 구절이(句) 덮을 수 있다(也).

 

[疏]○注 ‘孔曰 篇之大數’
○正義曰: 案今毛詩序, 凡三百一十一篇內, 六篇亡. 今其存者, 有三百五篇, 今但言三百篇, 故曰 “篇之大數”

○正義曰: 지금(今) 모시서를 살펴보면(毛詩序), 모두(凡) 311 편 안에(三百一十一篇內), 6 편이 사라졌다(六篇亡). 지금(今) 그 남은 것에는(其存者), 305 편이 있는데(有三百五篇), 지금(今) 단지(但) 300 편을 말한 했고(言三百篇),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편의 큰 수(篇之大數)”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