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伊川先生曰, 病臥於床, 委之庸醫比之不慈不孝.(병와어상 위지용의비지부자불효) 事親者亦不可不知醫.(사친자역불가부지의)
이천 선생이 말하길(伊川先生曰), 병들어(病) 침상에 누워 있을 때(臥於床), 평범한 의사에게 맡기는 것은(委之庸醫) 그것을(之) <부모가> 자애롭지 못하고(不慈) <자식이> 효성스럽지 않은 것에(不孝) 비유할 수 있다(比). 부모를 모시는 사람은(事親者) 또한(亦) 의술을 알지 않을 수 없다(不可不知醫).
[集說] 陳氏曰委, 猶付託也. 夫病, 死生所係, 而委之庸醫, 未有不致害者也. 故子有疾而委之庸醫, 比之不慈, 親有疾而委之庸醫, 比之不孝, 子能知醫, 則可以養親. 故曰事親者亦不可不知醫.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위는 부탁함과 같다(委, 猶付託也). 무릇 병이란(夫病), 생사가 달린 것이고(死生所係, 而) 평범한 의원에게(庸醫) 그것을 맡긴 것은(委之), 해를 부르지 않는 일이(不致害者) 있지 않다(未有也). 그러므로(故) 자식에게(子) 병이 있어서(有疾而) 평범한 의원에게 맡기면(委之庸醫), 사랑하지 않음에 비교하고(比之不慈), 부모에게(親) 병이 있는데 용렬한 의원에게 맡기는 것은(有疾而委之庸醫), 불효에 비교할 수 있으니(比之不孝), 자식이(子) 의술을 안다면(能知醫, 則) 부모를 봉양할 수 있다(可以養親). 그러므로(故) 말하길(曰) 부모를 모시는 사람은(事親者) 또한(亦) 의술을 알지 않을 수 없다(不可不知醫)라고 했다.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21] 관혼상제 예지대자(冠昏喪祭 禮之大者) / 짐승도 근본에 보답할 줄 안다 (0) | 2024.11.20 |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20] 사친봉제(事親奉) / 부모 모시는 것과 제사를 남에게 시킬 수 없다 (0) | 2024.11.20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18] 세상에 옳지 않은 부모가 없다 (0) | 2024.11.20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17] 필고순지(必姑順之) / 부모를 기쁘게 한다면 반드시 먼저 따라야 한다 (0) | 2024.11.20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16] 부모의 명령은 빨리 실천한다 (0)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