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道之以政, 《孔曰: "政, 謂法教."》 齊之以刑, 《馬曰: "齊整之以刑罰."》 民免而無恥. 《孔曰: "免, 苟免."》 道之以德, 《包曰: "德, 謂道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格, 正也.》
子曰: "백성을 정령으로 이끌고(道之以政), 《孔曰: "정은(政), 법제와 교령을 말한다(謂法教)."》 형벌로 가지런하게 하면(齊之以刑), 《馬曰: "형벌로 그들을 가지런하게 하고 바로잡는다(齊整之以刑罰)."》 백성이(民) 벗어나기는 하지만(免而) 부끄러움이 없다(無恥). 《孔曰: "면은(免), 구차하게 벗어나는 것이다(苟免)."》 백성을 덕으로 이끌고(道之以德), 《包曰: "덕은(德), 도와 덕을 말한다(謂道德)."》 예로써 가지런하게 하면(齊之以禮), 부끄러움이 있고(有恥) 또(且) 바르게 된다(格)."라고 했다. 《격은(格), 바르게 함이다(正也).》
[疏]‘子曰’至‘且格’
○正義曰: 此章言爲政以德之效也.
○正義曰: 이 장은(此章) 덕으로 정치하는 것의 효과를 말한다(言爲政以德之效也).
‘道之以政’者, 政, 謂法敎, 道, 謂化誘, 言化誘於民以法制敎命也.
[‘道之以政’者], 정은(政), 법제와 교령이고(謂法敎), 도는(道), 감화시켜 유도하는 것을 말하고(謂化誘), 백성을(於民) 법제와 교명으로(以法制敎命) 교화시켜 유도한다는 말이다(言化誘也).
‘齊之以刑’者, 齊, 謂齊整, 刑, 謂刑罰, 言道之以政而民不服者, 則齊整之以刑罰也.
[‘齊之以刑’者], 제는(齊), 정돈하는 것을 말하고(謂齊整), 형은(刑), 형벌을 말하고(謂刑罰), 법제와 교명으로 이끌어서(道之以政而) 백성 중에(民) 복종하지 않는 사람이 있으면(不服者, 則) 형벌로(以刑罰) 정돈한다는(齊整之) 말이다(言也).
* 齊整(제정): 돈(整頓)됨. 또는 정돈(整頓)함.
‘民免而無恥’者, 免, 苟免也, 言君上化民, 不以德而以法制刑罰, 則民皆巧詐苟免, 而心無愧恥也.
[‘民免而無恥’者], 면은(免), 구차하게 벗어남이고(苟免也), 임금과 윗사람이(君上) 백성을 교화할 때(化民), 덕으로 하지 않고(不以德而) 법제와 형벌로 하면(以法制刑罰, 則) 백성이 모두(民皆) 교묘하게 속여(巧詐) 구차하게 면하기만 하고(苟免, 而) 마음에(心) 부끄러워하는 것이 없다는(無愧恥) 말이다(言也).
* 巧詐(교사): 교묘(巧妙)한 수단(手段)으로 남을 속임.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者, 德, 謂道德, 格, 正也, 言君上化民, 必以道德. 民或未從化, 則制禮以齊整, 使民知有禮則安, 失禮則恥. 如此則民有愧恥而不犯禮, 且能自脩而歸正也.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者], 덕은(德), 도덕을 말하고(謂道德), 격은(格), 바르게 함이니(正也), 군상이 백성을 교화하는 것은(君上化民), 반드시(必) 도덕으로 한다는(以道德) 말이다(言). 백성이(民) 혹(或) 따라서 교화되지 않으면(未從化, 則) 제도와 예로써(制禮以) 정돈하고(齊整), 백성으로 하여금(使民) 예가 있으면 편안하고(有禮則安), 예를 잃으면(失禮則) 부끄럽다는 것을(恥) 알도록 한다(知). 이와 같다면(如此則) 백성에게(民) 부끄러움이 있어서(有愧恥而) 예를 범하지 않고(不犯禮), 또(且) 스스로를 닦아서 바름에 돌아갈 수 있다(能自脩而歸正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5] 부모의 뜻을 거스르지 마라 / 무위(無違) (0) | 2024.03.05 |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4] 마음이 하고자 하는 것이 법에 어긋나지 않았다 /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 (0) | 2024.03.04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2] 시에는 사특함이 없다 / 사무사(思無邪) (0) | 2024.03.02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 뭇별이 북신을 함께 받든다 / 중성공지(衆星共之) (0) | 2024.03.01 |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6] 남을 알지 못하는 것을 걱정한다 / 환부지인(患不知人)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