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시삼백 일언이폐지 왈사무사)
子曰: “시 삼백 편은(詩三百), 한 마디로(一言以) 덮으면(蔽之),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思無邪).’라고 할 수 있다(曰)”라고 했다.
* 以(이): 수단·방법을 표시하는 전치사로 목적어 一言(일언)과 도치된 형태다.
* 曰(왈): '이다'라는 뜻의 동사로 보기도 한다.
詩三百十一篇, 言三百者, 擧大數也.
시는(詩) 311편이고(三百十一篇), 삼백이란(三百者), 큰 수를 들어서(擧大數) 말한 것이다(言也).
○ 蔽, 猶蓋也. ‘思無邪’, 魯頌「駉」篇之辭. 凡詩之言, 善者可以感發人之善心, 惡者可以懲創人之逸志, 其用歸於使人得其情性之正而已. 然其言微婉, 且或各因一事而發, 求其直指全體, 則未有若此之明且盡者. 故夫子言詩三百篇, 而惟此一言足以盡蓋其義, 其示人之意亦深切矣.
○ 폐는(蔽), 덮는다는 것과 같다(猶蓋也). ‘사무사(思無邪)’란, 노송(魯頌) 경 편의 말이다(「駉」篇之辭). 무릇(凡) 시의 말은(詩之言), 좋은 것은(善者) 사람의 좋은 마음을(人之善心) 감동시켜 분발시킬 수 있고( 可以感發), 나쁜 것은(惡者) 사람의 안일한 뜻을(人之逸志) 꾸짖어 경계할 수 있으니(可以懲創), 그 쓰임이(其用) 사람들로 하여금(使人) 그 성정의 바름을 얻도록 하는 데(於得其情性之正) 귀결될 수 있을 뿐이다(歸而已). 그러나(然) 그 말이(其言) 부드럽고 완곡하며(微婉), 또한(且) 혹(或) 각자(各) 한 가지 일을 따라서(因一事而) 나타는 것이라서(發), 그 (其) 곧장(直) 전체를 가리키는 것을(指全體) 찾는다면(求, 則) 이와 같은(若此之) 분명하고(明) 또(且) 극진한 것은(盡者) 있지 않다(未有). 그러므로(故) 선생님이(夫子) 시가 300편이지만(詩三百篇, 而) 오직(惟) 이 한마디 말이(此一言) 그 뜻을 다 덮을 수 있다고(足以盡蓋其義) 말해서(言), 그 사람에게 보여준(其示人之) 뜻이(意) 또한(亦) 깊고 절실하다(深切矣).
* 感發(감발): 느끼어 마음이 움직임, 감동하여 분발함.
* 逸志(일지): 훌륭하고 뛰어난 지조(志操), 세속을 벗어난 뜻.
* 懲創(징창): 허물이나 잘못을 뉘우치도록 벌을 주거나 꾸짖어서 경계함.
* 微婉(미완) 부드럽고 완곡하다.
○ 程子曰: “‘思無邪’者, 誠也.”
○ 程子曰: “사무사란(‘思無邪’者), 진실함이다(誠也).”
范氏曰: “學者必務知要, 知要則能守約, 守約則足以盡博矣. 經禮三百, 曲禮三千, 亦可以一言以蔽之, 曰 ‘毋不敬’.”
范氏曰: “학자는(學者) 반드시(必) 요체를 아는 것에 힘쓰고(務知要), 요체를 알면(知要則) 요약을 지킬 수 있고(能守約), 요약을 지킬 수 있으면(守約則) 해박함을 극진하게 할 수 있다(足以盡博矣). 경례 300과(經禮三百), 곡례 3000은(曲禮三千), 또한(亦) 한 마디로 덮을 수 있으니(可以一言以蔽之), 불경하지 말아야 한다(‘毋不敬’)라고 할 수 있다(曰).”라고 했다.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4] 배움의 과정과 목적 /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 (0) | 2024.03.04 |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3] 백성을 덕과 예로 이끌어야 한다 / 유치차격(有恥且格) (0) | 2024.03.03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1] 정치를 덕으로 하는 것은 / 비여북진(譬如北辰) (0) | 2024.03.01 |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16] 남을 알지 못하는 것을 걱정해라 / 환부지인야(患不知人也) (0) | 2024.02.28 |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15] 작은 것에 만족하지 말고 나아가라 / 여절여차 여탁여마(如切如磋 如琢如磨) (0) |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