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십오유오이지우학) 《有所成也.》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 《孔曰: "不疑惑."》 五十而知天命,(오십이지천명) 《孔曰: "知天命之終始."》 六十而耳順,(육십이이순) 《鄭曰: "耳聞其言, 而知其微旨."》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 《馬曰: "矩, 法也. 從心所欲無非法."》
子曰: "나는(吾) 열다섯에(十有五而) 배움에 뜻을 두었고(志于學), 삼십에(三十而) 이루어 섰고(立), 《이룬 것이 있다(有所成也).》 사십에(四十而) 의혹하지 않았고(不惑), 《孔曰: "의심해서 당혹하지 않았다(不疑惑)."》 오십에(五十而) 천명을 알았고(知天命), 《孔曰: "천명의 시작과 끝을 알았다(知天命之終始)."》 육십에(六十而) 말을 들으면 은미한 뜻을 알았고(耳順), 《鄭曰: "귀로(耳) 그 말을 들으면(聞其言, 而) 그 은미한 뜻을 알았다(知其微旨)."》 칠십에(七十而) 마음이 원하는 것을 따라도(從心所欲) 법을 넘지 않았다(不踰矩)." 《馬曰: "구(矩)는, 법이다(法也). 마음이 하고자 하는 것에(從心所欲) 법에 어긋나는 것이 없었다(無非法)."》
[疏]‘子曰’至‘踰矩’
○正義曰 :此章明夫子隱聖同凡, 所以勸人也.
○正義曰: 이 장은(此章) 부자께서(夫子) 성인임을 숨기고(隱聖) 보통사람과 같음을(同凡) 밝혔서(明), 사람들을 격려하는 것이다(所以勸人也).
‘吾十有五而志于學’者, 言成童之歲, 識慮方明, 於是乃志於學也.
[‘吾十有五而志于學’者], 성동의 나이가 되어(成童之歲), 식견과 사려가(識慮) 비로소 밝아졌고(方明), 이에(於是) 곧(乃) 배움에 뜻을 두었다는(志於學) 말이다(言也).
* 成童(성동): 열다섯 살 된 사내아이를 이르는 말.
* 識慮(식려): 식견과 사려
‘三十而立’者, 有所成立也.
[‘三十而立’者], 성립한 것이 있는 것이다(有所成立也).
‘四十而不惑’者, 志强學廣, 不疑惑也.
[‘四十而不惑’者], 뜻이 강하고(志强) 학문이 넓어져서(學廣), 의혹하지 않았다(不疑惑也).
‘五十而知天命’者, 命, 天之所稟受者也. 孔子四十七學易, 至五十, 窮理盡性, 知天命之終始也.
[‘五十而知天命’者], 명은(命), 하늘이 부여한 것이다(天之所稟受者也). 공자가( 孔子) 47 세에(四十七) 주역을 공부해서(學易), 50 세에 이르러(至五十), 이치를 궁구 하고(窮理) 본성을 다하여(盡性), 천명의 시작과 끝을 알았다(知天命之終始也).
* 稟受(품수), 稟賦(품부): 선천적(先天的)으로 타고 남.
‘六十而耳順’者, 順, 不逆也, 耳聞其言, 則知其微旨而不逆也.
[‘六十而耳順’者], 순이란(順), 거스르지 않음이고(不逆也), 귀로(耳) 그 말을 들으면(聞其言, 則) 그 은미한 뜻을 알아서(知其微旨而) <귀에> 거슬리지 않았다(不逆也).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者, 矩, 法也, 言雖從心所欲而不踰越法度也.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者], 구는(矩), 법이고(法也), 비록(雖) 마음이 바라는 것을 따르더라도(從心所欲而) 법도를 넘지 않았다는(不踰越法度) 말이다(言也).
孔子輒言此者, 欲以勉人志學, 而善始令終也.
공자가(孔子) 문득(輒) 이것을 말한 것은(言此者), 사람들을 격려하여(以勉人) 학문에 뜻을 두어(志學, 而) 시작을 잘하고 잘 마치게 하려는 것이다( 欲善始令終也).
* 令終(영종): 일생을 잘 마침. 고종명(考終命).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6] 부모는 자식의 병만 걱정하도록 해야 한다 / 부모유기질지우(父母唯其疾之憂) (0) | 2024.03.06 |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5] 부모의 뜻을 거스르지 마라 / 무위(無違) (0) | 2024.03.05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3] 백성을 예와 덕으로 이끌면 바르게 된다 / 유치차격(有恥且格) (0) | 2024.03.03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2] 시에는 사특함이 없다 / 사무사(思無邪) (0) | 2024.03.02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 뭇별이 북신을 함께 받든다 / 중성공지(衆星共之) (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