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주소(論語注疏)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5] 부모의 뜻을 거스르지 마라 / 무위(無違)

by मोक्ष 2024. 3. 5.
반응형

孟懿子問孝. 《孔曰: "魯大夫仲孫何忌. 懿, 謚也."》 子曰: "無違." 樊遲御, 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 鄭曰: "恐孟孫不曉無違之意, 將問於樊遲, 故告之. 樊遲, 弟子樊須."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 事之以禮. 死, 葬之以禮, 祭之以禮." 

맹의자가 효를 물었다(孟懿子問孝). 《孔曰: "노나라 대부(魯大夫仲) 중손하기다(孫何忌). 의는(懿), 시호다(謚也)."선생님이 말하길(子曰): "<예를> 어기지 말아야 한다(無違)."라고 했다. 번지가 마차를 모는데(樊遲御), 선생님이 일러 말하길(子告之曰): "맹손이(孟孫) 나에게 효를 물어서(問孝於我), 내가 대답하기를(我對曰), 어기지 말라고(無違) 했다."라고 했다. 鄭曰: "맹손이(恐孟孫) 어기지 말라는 뜻을(無違之意) 깨닫지 못하고(不曉), 장차(將) 번지에게 물을 것이고(問於樊遲), 그러므로(故) 그에게 일러주었다(告之). 번지는(樊遲), 제자 번수다(弟子樊須)." 번지가 말하길(樊遲曰): "무엇을 말씀하시는지요(何謂也)?"라고 했다. 선생님이 말하길(子曰): "살아 계시면(生), 예로써 모시고(事之以禮). 돌아가시면(死), 예로써 장사 지내고(葬之以禮), 예로써 제사 지낸다(祭之以禮)."라고 했다. 

 

[疏]‘孟懿’至‘以禮’

 

○正義曰: 此章明孝必以禮.

○正義曰: 이 장은(此章) 효는(孝) 반드시(必) 예로써 한다는 점을(以禮) 밝혔다(明).

 

‘孟懿子問孝’者, 魯大夫仲孫何忌, 問孝道於孔子也.

[‘孟懿子問孝’者], 노나라 대부(魯大夫) 중손하기가(仲孫何忌), 공자에게(於孔子) 효도를 물은 것이다(問孝道也).

 

‘子曰無違’者, 此夫子答辭也. 言行孝之道, 無得違禮也.

[‘子曰無違’者], 이것은(此) 선생님이(夫子) 답한 말이다(答辭也). 효를 행하는 길은(行孝之道), 예를 어기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無得違禮) 말이다(也).

 

‘樊遲御’者, 弟子樊須爲夫子御車也.

[‘樊遲御’者], 제자 번수가(弟子樊須) 선생님을 위해(爲夫子) 마차를 몬 것이다(御車也).

 

‘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者, 孟孫, 卽懿子也. 孔子恐孟孫不曉無違之意, 而懿子與樊遲友善, 必將問於樊遲, 故夫子告之.

[‘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者], 맹손이(孟孫), 곧(卽) 의자다(懿子也). 공자가(孔子) 맹손이(孟孫) 어기지 말라는 뜻을(無違之意) 깨닫지 못하고(不曉, 而) 의자와 번지가(懿子與樊遲) 친한 벗이니(友善), 반드시(必) 번지에게 물을 것이라 여기고(將問於樊遲), 그러므로(故) 선생님이 그에게 일러주었다(夫子告之).

 

‘樊遲曰 何謂也’者, 樊遲, 亦未達無違之旨, 故復問曰 “何謂也.”

[‘樊遲曰 何謂也’者], 번지도(樊遲), 또한(亦) 어기지 말라는 뜻을 깨닫지 못했고(未達無違之旨), 그러므로(故) 다시(復) 묻기를(問曰)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何謂也).”라고 했다.

 

‘子曰 生事之以禮 死葬之以禮 祭之以禮’者, 此夫子爲言無違之事也. 生事之以禮, 謂冬溫夏凊‧昏定晨省之屬也. 死葬之以禮, 謂爲之棺槨衣衾而擧之, 卜其宅兆而安措之之屬也. 祭之以禮, 謂春秋祭祀, 以時思之, 陳其簠簋而哀戚之之屬也. 不違此禮, 是無違之理也. 不卽告孟孫者, 初時意在簡略, 欲使思而得之也. 必告樊遲者, 恐孟孫以爲從父之令是無違, 故旣與別後, 告於樊遲, 將使復告孟孫也.

[‘子曰 生事之以禮 死葬之以禮 祭之以禮’者], 이것은(此) 선생님이(夫子) 어기지 않는 일을 말씀하신 것이다(爲言無違之事也). 살아 계실 때 모시는 것을(生事之) 예로 한다는 것은(以禮), 겨울에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 시원하게 하고(冬溫夏凊), 밤에 잠자리를 정리하고 아침에 안부를 묻는 따위를(昏定晨省之屬) 말한다(也). 돌아가시면(死) 장사를 예로 지내는 것은(葬之以禮), 부모를 위해(爲之) 관곽과 의금을 만들어(棺槨衣衾而) 시신을 모시고(擧之), 그 무덤을 잡아서(卜其宅兆而) 안장하는 따위를(安措之之屬) 말한다(也). 제사를 예로써 지내는 것은(祭之以禮), 봄가을에 제사 지내고(春秋祭祀), 때에 따라(以時) 어버이를 생각하고(思之), 그 보궤를 늘어놓고(陳其簠簋而) 슬퍼하는 따위를(哀戚之之屬) 말한다(也). 이 예를 어기지 않는 것이(不違此禮), 바로(是) 어기지 않는 도리다(無違之理也). 맹손에게 바로 일러주지 않은 것은(不卽告孟孫者), 처음에(初時) 마음이(意) 간략하게 하려는 데 있고(在簡略), 그로 하여금 생각해서 얻도록 하려는 것이었다(欲使思而得之也). 반드시(必) 번지에게 일러주신 것은(告樊遲者), 맹손이(孟孫) 아버지의 명을 따르는 것이(從父之令) 바로(是) 무위라고(無違) 여길까(以爲) 걱정했고(恐), 그러므로(故) 이미(旣) 그와 헤어진 뒤에(與別後), 번지에게 일러주어(告於樊遲), 장차(將) 다시(復) 맹손에게 일러주도록 했다(使告孟孫也).

 

* 昏定晨省(혼정신성):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 宅兆(택조): 무덤의 구덩이 속과 벽() 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簠簋(보궤): 제향() 때에 쓰는 보()와 궤().

 

[疏]○注 ‘孔子曰’至‘諡也’

 

○正義曰: 春秋定六年經, 書“仲孫何忌如晉.” 傳曰 “孟懿子往.” 是知孟懿子卽仲孫何忌也. 諡法曰 “溫柔賢善曰懿.”

○正義曰: 춘추(春秋) 정공 6년(定六年) 경에(經), “중손하기가 진나라에 갔다(仲孫何忌如晉).”라고 쓰였다(書). 전에서 이르길(傳曰) “맹의자가 갔다(孟懿子往).”라고 했다. 이것은(是) 맹의자가 곧 중손하기임을 알 수 있다(知孟懿子卽仲孫何忌也). 시법에 이르길(諡法曰) “온유하고(溫柔) 현명하고 착한 것이(賢善) 의다(曰懿).”라고 했다.

 

[疏]○注 ‘鄭曰’至‘樊須’

 

○正義曰: 案史記弟子傳曰 “樊須, 字子遲, 齊人, 少孔子三十六歲也.”

○正義曰: 사기 제자전에 이른 것을 살펴보면(案史記弟子傳曰) “번수는(樊須), 자가 자지이고(字子遲), 제나라 사람으로(齊人), 공자보다(孔子) 36살 적다(三十六歲也).”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