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경신(實敬身) 6-59] 자기 직분에 충실한 도간

by मोक्ष 2025. 1. 4.
반응형

陶侃爲廣州刺史, 在州無事, 輒朝運百甓於齋外, 莫運於齋內.(도간위광주자사 재주무사 첩조운백벽어재외 모운어재내) 人問其故, 答曰, 吾方致力中原, 過爾優逸, 恐不堪事.(인문기고 답왈 오방치력중원 과이우일 공불감사) 其勵志勤力, 皆此類也.(기려지근력 개차류야)

도간이(陶侃) 광주자사가 되어(爲廣州刺史), 주에 있으면서(在州) 일이 없으면(無事), 번번이(輒) 아침에(朝) 벽돌 100개를(百甓) 집 바깥으로(於齋外) 옮기고(運), 저녁에는(莫) 집 안으로 옮겼다(運於齋內). 사람들이(人) 그 까닭을 물으니(問其故), 답하길(答曰), 내가(吾) 바야흐로(方) 중원에 힘을 다하려는데(致力中原), 이 편안함이 지나치면(過爾優逸), 일을 감당하지 못할까 두렵다(恐不堪事). 그가(其) 뜻을 기르고(勵志) 힘을 쓴 것이(勤力), 모두(皆) 이런 것들이다(此類也). 

 

* 優逸(우일): 편안(便安)함, 안일함.

 

[集說] 陳氏曰侃, 字士行, 鄱陽人, 仕至太尉. 甓, 甎也. 時, 中原之地爲劉石所據, 侃欲致力興復. 故朝夕運甓, 以習勞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도간은(侃), 자가 사행이고(字士行), 파양 사람으로(鄱陽人), 벼슬이(仕) 태위에 이르렀다(至太尉). 벽은 벽돌이다(甓, 甎也). 당시(時), 중원의 땅은(中原之地) 유석에 의해 점령당했고(爲劉石所據), 도간은(侃) 힘을 다해서 다시 일으키고 싶었다(欲致力興復). 그러므로(故) 아침저녁으로(朝夕) 벽돌을 날라(運甓, 以) 고된 일을 익혔다(習勞也).

後爲荊州刺史. 侃性聰敏, 勤於吏職, 恭而近禮, 愛好人倫. 終日斂膝危坐, 閫外多事, 千諸萬端, 罔有遺漏, 遠近書疏, 莫不手答, 筆翰如流, 未嘗壅滯, 引接疏遠, 門無停客. 

나중에(後) 형주자사가 되었다(爲荊州刺史). 도간의 천성이(侃性) 총명하고 민첩하며(聰敏), 관리의 직분에(於吏職) 근면했고(勤), 공손하며 예를 가까이하고(恭而近禮), 인륜을 사랑했다(愛好人倫). 종일토록(終日) 무릎 꿇고 제대로 앉아 있었고(斂膝危坐), 변방에(閫外) 일이 많아(多事), 천만 가지였지만(千諸萬端), 빠뜨리고 새는 것이 있지 않았고(罔有遺漏), 멀고 가까운 곳에서 온 서찰은(遠近書疏), 무엇도(莫) 손수 답하지 않은 것이 없으며(不手答), 거침없이 글을 쓰고(筆翰如流), 일찍이 막혀서 걸린 적이 없으며(未嘗壅滯), 소원한 사람을 접하는 것에도(引接疏遠), 문에서(門) 기다리는 손님이 없었다(無停客). 

 

* 斂膝危坐(염슬위좌): 무릎을 모으고 옷자락을 바로하여 단정히 앉음.

* 閫外(곤외): 문지방의 밖, 왕성 밖.

* 書疏(서소): 안부(), 소식(), 용무() 따위를 적어 보내는 글.

* 筆翰如流(필한여류): 「붓이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 문장()을 거침없이 써 내려가는 모양().

* 壅滯(옹체): 막혀서 걸림, 막히어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함.


[增註] 愛好人倫, 尙名敎也. [集解] 閫, 門限也. 古者, 人君命將之辭曰閫以外, 將軍制之, 時, 侃都督荊州. 故曰閫外也.

[增註] 애호인륜은(愛好人倫), 명교를 숭상하는 것이다(尙名敎也).

[集解] 곤은 문지방이다(閫, 門限也). 옛날(古者), 임금이(人君) 장수에게 명령하는 말에(命將之辭) 문지방 바깥은(曰閫以外), 장군이 통제한다(將軍制之)라고 했으니, 당시(時), 도간이(侃) 형주도독이었고(都督荊州), 그러므로(故) 곤외라고 했다(曰閫外也).

常語人曰, 大禹聖人, 乃惜寸陰,(상어인왈 대우성인 내석촌음) 至於衆人, 當惜分陰.(지어중인 당석분음) 豈可逸遊荒醉, 生無益於時, 死無聞於後, 是自棄也.(기가일유황취 생무익어시 사무문어후 시자기야) 諸參佐或以談戱廢事者, 乃命取其酒器蒱博之具, 悉投之于江, 吏將則加鞭扑, 樗蒱者, 牧猪奴戱耳. 老莊浮華, 非先王之法言. 不可行也. 君子當正其衣冠, 攝其威儀. 何有亂頭養望, 自謂弘達耶.

늘(常) 사람들에게 말하길(語人曰), 대우는 성인이었는데(大禹聖人), 촌음을 아꼈으니(乃惜寸陰), 보통사람에 이르러서는(至於衆人), 마땅히(當) 분음을 아껴야 한다(惜分陰). 어찌(豈) 편안히 놀고(可逸遊) 술에 취해서(荒醉), 살아서는(生) 당시에 유익함이 없고(無益於時), 죽어서는(死) 후세에 명성이 없을 것이겠는가(無聞於後), 이것은(是) 자기를 버리는 것이다(自棄也)라고 했다. 여러(諸) 보좌 가운데(參佐) 혹(或) 잡담과 놀이로(以談戱) 일을 버리는 사람이 있으면(廢事者), 그 술그릇과 놀이 기구를 취해서(乃取其酒器蒱博之具), 모두(悉) 강에 던지도록(投之于江) 명하고(命), 아전과 장수에게(吏將則) 채찍을 가하며(加鞭扑), 도박은(樗蒱者), 돼지를 치는(牧猪) 노비의 놀이일 뿐이다(奴戱耳)라고 했다. 노장은(老莊) 겉만 화려하고(浮華), 선왕의 따라야할 말이 아니다(非先王之法言). 실행할 수 없다(不可行也). 군자가(君子) 마땅히(當) 그 의관을 바르게 하고(正其衣冠), 그 몸가짐을 단속해야 한다(攝其威儀). 어찌(何) 머리를 헝클고(亂頭) 명망을 기르는 일이 있어서(養望), 스스로(自) 널리 통달했다고 말하겠는가(謂弘達耶).

 

* 寸陰(촌음), 分陰(분음): 얼마 안되는 시간().

* 逸遊[佚遊](유일[일유]): 마음대로 편안(便)히 즐기고 놂.

* 荒醉(황취): 술에 몹시 취()함.

* 鞭扑(편박): 鞭撻(편달) 채찍으로 때리는 것. 편복(), (어떤 사람을) 잘 할 수 있도록 따끔하게 나무라는 것.

* 浮華(부화): 실속은 없이 겉만 화려()함.

* 威儀(위의): 위엄()이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集說] 陳氏曰蒱, 樗蒱也, 博, 局戱也. 浮華, 謂老聃莊周之言, 虛而無實也. 攝, 檢束也. 亂頭養望, 吳氏謂蓬頭放肆, 養其虛望也. 逸遊荒醉, 談戱廢事, 亂頭養望, 皆老莊尙玄虛棄禮法之流弊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포는(蒱), 쌍륙이고(樗蒱也), 박은(博), 판으로 하는 놀이다(局戱也). 부화는(浮華), 노담과 장주의 말은(老聃莊周之言), 비어서(虛而) 실질이 없다는(無實) 말이다(也). 섭은 검속함이다(攝, 檢束也). 난두양망은(亂頭養望), 오씨가 말하길(吳氏謂) 봉두방사이니(蓬頭放肆), 그 허망함을 기르는 것이다(養其虛望也). 일유황취는(逸遊荒醉), 잡담하고 놀면서(談戱) 일을 그만두는 것이고(廢事), 난두양망은(亂頭養望), 모두(皆) 노장이(老莊) 현허를 숭상하고(尙玄虛) 예법을 버린(棄禮法之) 유폐다(流弊也)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