范文正公少有大節, 其於富貴貧賤, 毁譽歡戚, 不一動其心, 而慨然有志於天下.(범문정공소유대절 기어부귀빈천훼예환척 불일동기심 이개연유지어천하) 嘗自誦曰, 士當先天下之憂而憂, 後天下之樂而樂也.(상자송왈 사당선천하지우이우 후천하지락이락야)
범문정공은(范文正公) 어려서(少) 큰 절개가 있었고(有大節), 그(其) 부귀와 빈천, 비방과 칭찬, 즐거움과 걱정에 대해서(於富貴貧賤, 毁譽歡戚), 한 반도 마음을 움직이지 않았고(不一動其心, 而) 강개하게(慨然) 천하에 뜻이 있었다(有志於天下). 일찍이(嘗) 스스로 송하여 말하길(自誦曰), 선비는(士) 마땅히(當) 천하가 근심하는 것을 앞서서(先天下之憂而) 근심하고(憂), 천하가 즐거워한 뒤에(後天下之樂而) 즐긴다(樂也)라고 했다.
* 大節(대절): 대의(大義)를 위하여 목숨을 바쳐 지키는 절개(節槪ㆍ節介).
* 毁譽(훼예): 남을 비방(誹謗)함과 칭찬(稱讚)함.
[增註] 不一動其心, 謂富貴不慕, 貧賤不厭, 毁之不怒, 譽之不喜, 得而不歡, 失而不戚也. 天下未憂而先憂, 天下已樂而後樂.
[增註] 불일동기심은(不一動其心), 부귀를 사모하지 않고(謂富貴不慕), 빈천을 싫어하지 않고(貧賤不厭), 비방하는 것을 노여워하지 않고(毁之不怒), 칭찬하는 것을 기뻐하지 않고(譽之不喜), 얻더라도 좋아하지 않고(得而不歡), 잃더라도 슬퍼하지 않는 것을(失而不戚也) 말한다. 천하가(天下) 걱정하지 않을 때(未憂而) 먼저 걱정하고(先憂), 천하가(天下) 이미 즐긴 뒤에야(已樂而後) 즐긴다(樂).
其事上, 遇人, 一以自信, 不擇利害爲趨捨. 其有所爲, 必盡其方, 曰, 爲之自我者, 當如是. 其成與否, 有不在我者. 雖聖賢不能必. 吾豈苟哉.
그가(其) 윗사람을 섬기고(事上), 사람을 대하는 것은(遇人), 한결같이(一以) 소신대로 하고(自信), 이해를 가려서(擇利害) 취하거나 버리지 않았다(不爲趨捨). 그(其) 하는 것이 있으면(有所爲), 반드시(必) 방법을 다하고(盡其方), 말하길(曰), 하는 것은(爲之) 나로부터인 것이니(自我者), 마땅히 이와 같고(當如是), 그 성공 여부는(其成與否), 나에게 있지 않는 것이다(有不在我者). 비록(雖) 성현이라도(聖賢) 반드시 그렇게 할 수 없으니(不能必), 내가 어찌(吾豈) 구차히 하겠는가(苟哉).
[增註] 자신은(自信), 그 바름을 지키는 것이다(守其正也).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경신(實敬身) 6-68] 관녕의 몸가짐 (0) | 2025.01.04 |
---|---|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경신(實敬身) 6-67] 사마온공의 겸양 (0) | 2025.01.04 |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경신(實敬身) 6-65] 뜻이 먹고 입는 것에 있지 않다 (0) | 2025.01.04 |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경신(實敬身) 6-64] 은총과 권세가 높고 빛나는 것에 의지하지 말아야 한다 (0) | 2025.01.04 |
[소학집주(小學集註) 선행(善行) 실경신(實敬身) 6-63] 수불석권(手不釋卷) - 유중영이 손에서 책을 놓은 적이 없다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