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6] 부모는 자식이 잘못될까 걱정한다 / 부모유기질지우(父母唯其疾之憂)

by मोक्ष 2024. 3. 6.
반응형

孟武伯問孝.(맹무백문효) 子曰: “父母唯其疾之憂.”(부모유기질지우)

맹무백이 효를 물었다(孟武伯問孝).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부모는(父母) 오직(唯) 그 <자식이> 병드는 것을(其疾之) 걱정한다(憂).”라고 했다.

武伯, 懿子之子, 名彘. 言父母愛子之心, 無所不至, 惟恐其有疾病, 常以爲憂也. 人子體此, 而以父母之心爲心, 則凡所以守其身者, 自不容於不謹矣, 豈不可以爲孝乎?

무백은(武伯), 의자의 아들이고(懿子之子), 이름은 체다(名彘). 부모가(父母)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은(愛子之心), 이르지 못할 것이 없고(無所不至), 오직(惟) 자식에게(其) 병이 있을까 하며(有疾病), 늘(常) 근심으로 여긴다는(以爲憂) 말이다(也). 자식이(人子) 이것을 알아서(體此, 而) 부모의 마음으로(以父母之心) 자기 마음을 삼으면(爲心, 則) 무릇(凡) 자기 몸을 지키는 것이(所以守其身者), 저절로(自) 조심하지 않는 것을 용납할 수 없으니(不容於不謹矣), 어찌(豈) 효가 되지 않겠는가(不可以爲孝乎)?

舊說, 人子能使父母不以其陷於不義爲憂, 而獨以其疾爲憂, 乃可謂孝. 亦通.

옛 설에서는(舊說), 자식이(人子) 부모로 하여금(使父母) 그가 불의에 빠지는 것을(以其陷於不義) 근심으로 삼지 않도록 하고(爲憂, 而) 오직(獨) 그가 병드는 것으로(以其疾) 근심을 삼도록 할 수 있으면(爲憂), 곧(乃) 효라고 말할 수 있다(可謂孝). 또한 통한다(亦通).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