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7] 잘 봉양하는 것이 효도의 끝은 아니다 / 금지효자 시위능양(今之孝者 是謂能養)

by मोक्ष 2024. 3. 7.
반응형

子游問孝.(자유문효)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금지효자 시위능양)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급 하이별호)

자유가 효를 물었다(子游問孝).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지금의 효자는(今之孝者), 잘 봉양하는 것을 말한다(是謂能養). 개나 말에 이르러서도(至於犬馬), 모두(皆) 기르는 것이 있을 수 있으니(能有養); 공경하지 않는다면(不敬), 무엇이 다르겠는가(何以別乎)?”라고 했다.

○ 子游, 孔子弟子, 姓言, 名偃. 養, 謂飮食供奉也. 犬馬待人而食, 亦若養然. 言人畜犬馬, 皆能有以養之, 若能養其親而敬不至, 則與養犬馬者何異. 甚言不敬之罪, 所以深警之也.

○ 자유는(子游), 공자 제자로(孔子弟子), 성은 언이고(姓言), 이름이 언이다(名偃). 양은(養), 음식을 바치고 받든다는 말이다(謂飮食供奉也). 개와 말이(犬馬) 사람에 기대서(待人而) 먹는데(食), 또한(亦) 기르는 것과 같다(若養然). 사람이(人) 개와 말을 사육하는데(畜犬馬), 모두(皆) 기르는 것일 있을 수 있으니(能有以養之), 만약(若) 그 부모를 기를 수 있지만(能養其親而) 공경이 이르지 않는다면(敬不至, 則) 개와 말을 기르는 것과(與養犬馬者) 무엇이 다르겠는(何異) 하는 말이다(言). 불경의 죄를 심하게 말했고(甚言不敬之罪), 깊이 경계한 것이다(所以深警之也).

○ 胡氏曰: “世俗事親, 能養足矣. 狎恩恃愛, 而不知其漸流於不敬, 則非小失也. 子游聖門高弟, 未必至此, 聖人直恐其愛踰於敬, 故以是深警發之也.”

○ 胡氏曰: “세속에서(世俗) 부모를 모시는 것은(事親), 기르는 것이면 충분하다(能養足矣). 은혜에 익숙해지고(狎恩) 사랑을 믿어(恃愛, 而) 불경으로 점차 흐르는 것을(其漸流於不敬) 알지 못한다면(不知, 則) 작은 잘못이 아니다(非小失也). 자유는(子游) 성문의 훌륭한 제자로(聖門高弟), 반드시 여기에 이르지 않았지만(未必至此), 성인이(聖人) 그 사랑이 공경을 넘을까 봐(其愛踰於敬) 바로 염려했고(直恐) , 그러므로(故) 이 때문에(以是) 깊이 경계하여(深警) 그를 깨우쳐주었다(發之也).”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