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路見於孔子曰: “負重涉遠, 不擇地而休, 家貧親老, 不擇祿而仕. 昔者由也, 事二親之時, 常食藜藿之實, 爲親負米百里之外. 親歿之後, 南遊於楚, 從車百乘, 積粟萬鍾, 累茵而坐, 列鼎而食. 願欲食藜藿, 爲親負米, 不可復得也. 枯魚銜索, 幾何不蠹, 二親之壽, 忽若過隙” 孔子曰: “由也事親, 可謂生事盡力, 死事盡思者也”
자로가(子路) 공자를 만나서 말하길(見於孔子曰): “무거운 것을 지고(負重) 먼 길을 갈 때는(涉遠), 땅을 가리지 않고(不擇地而) 쉬며(休), 집안이 가난하고(家貧) 부모가 늙었으면(親老), 녹을 가리지 않고(不擇祿而) 벼슬합니다(仕). 옛날(昔者) 제가(由也), 양친을 모실 때(事二親之時), 늘(常) 보잘것없는 음식을 먹었지만(食藜藿之實), 부모를 위해(爲親) 백 리 밖에서(百里之外) 쌀을 지고 왔습니다(負米). 부모가 돌아가신 뒤로(親歿之後), 남으로(南) 초나라에 유세하러 가서(遊於楚), 마차 백 대가 따르고(從車百乘), 쌓은 곡식이(積粟) 만 종이고(萬鍾), 깔개를 포개어(累茵而) 앉고(坐), 솥을 벌려 놓고(列鼎而) 밥을 먹었습니다(食). 원컨대(願) 변변치 못한 음식을 먹으며(欲食藜藿), 부모를 위해 쌀을 지려고 해도(爲親負米), 다시 할 수 없었습니다(不可復得也). 마른 고기가(枯魚) 줄을 물고 있으니(줄에 꿰어 있으니)(銜索), 얼마나 걸려(幾何) 좀이 쏠지 않겠으며(不蠹), 양친이 천수를 누렸다 해도(二親之壽), 갑자기(忽) <말이> 틈을 지나는 것과 같았을 것입니다(若過隙)”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네가(由也) 부모를 모신 것을(事親), 살아서 모실 때는(生事) 힘을 다했고(盡力), 돌아가신 뒤에는(死事) 생각을 다한 것이라고(盡思者) 할만하다(可謂也)”
* 藜藿(여곽): ‘명아주 잎과 콩잎’이라는 뜻으로, 아주 변변치 못한 음식(飮食)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공맹의 뒤안길 > 공자가어(孔子家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 8-11] 선이충신(先以忠信) - 충과 신을 우선하면 무엇이라도 할 수 있다 (0) | 2025.01.06 |
---|---|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 8-10] 공자지담(孔子之郯) - 공자가 담에 가는 길에 정자를 만났다 (0) | 2025.01.06 |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 8-8] 종일불권(終日不倦) - 종일토록 싫증 나지 않는 것은 학문 뿐이다 (0) | 2025.01.05 |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 8-7] 수욕정이풍부정(樹欲靜而風不停) - 나무가 고요하려고 하지만 (0) | 2024.12.12 |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 8-6] 관중이 참으로 인한 사람인가요? (0) | 202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