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曾子曰: “狎甚則相簡, 莊甚則不親, 是故君子之狎足以交歡, 其莊足以成禮.” 孔子聞斯言也, 曰: “二三子志之, 孰謂參也不知禮乎!”
증자가 말하길(曾子曰): “친밀함이(狎) 심하면(甚則) 서로 소홀해지고(相簡), 장엄함이 심하면(莊甚則) 친해질 수 없으니(不親), 이 때문에(是故) 군자의 친함은(君子之狎) 서로 즐거워하는 것으로 충분하고(足以交歡), 그 장엄함은(其莊) 예를 이룰 정도면 충분하다(足以成禮).”라고 했다.
공자가(孔子) 이 말을 듣고서(聞斯言也), 말하길(曰): “제자들은(二三子) 기록해 두어라(志之). 누가(孰) 증삼이(參也) 예를 모른다고(不知禮) 말했던가(謂乎)!”라고 했다.
* 簡(간): 소홀(疏忽)히 하다
* 交歡(교환): 서로 사귀며 즐거움을 나눔.
반응형
'공맹의 뒤안길 > 공자가어(孔子家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2] 애공문왈신위장포(哀公問曰紳委章甫) - 복장이 행동을 규제한다 (0) | 2025.01.10 |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0] 우예이국쟁전(虞芮二國爭田) - 문왕의 도는 지극하구나 (0) | 2025.01.10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9] 제사는 효자가 자기를 다하는 예절이다 (0) | 2025.01.10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8] 칠조빙이 남의 좋은 점과 잘못을 말하는 태도 (0) | 2025.01.10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6] 초왕실궁(楚王失弓) - 초왕이 활을 잃어버리고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