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君子不器."(군자불기) 《包曰: "器者各周其用, 至於君子, 無所不施."》
子曰: "군자는(君子) <용도가 한정된> 그릇이 아니다(不器)." 《包曰: "기란(器者) 각자(各) 그 쓰임에 알맞지만(周其用), 군자에 이르러서는(至於君子),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無所不施)."》
[疏]‘子曰 君子不器’
○正義曰: 此章明君子之德也.
○正義曰: 이 장은(此章) 군자의 덕을 밝혔다(明君子之德也).
器者, 物象之名, 形器旣成, 各周其用, 若舟楫以濟川, 車輿以行陸, 反之則不能. 君子之德, 則不如器物各守一用, 言見幾而作, 無所不施也.
기란(器者), 사물의 형상을 이름 붙인 것이니(物象之名), 형태가 이미 이루어져서(形器旣成), 각자(各) 그 쓰임에 알맞고(周其用), 배로 하천을 건너고(舟楫以濟川), 마차로(車輿以) 육지를 다니는 것과(行陸) 같으니(若), 그것을 반대로 한다면(反之則) 할 수 없다(不能). 군자의 덕이라면(君子之德, 則) 기물처럼(如器物) 각자(各) 한 가지 쓰임을 고수하지 않고(不守一用), 기미를 보면 일어나서(見幾而作),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는(無所不施) 말이다(言也).
* 舟楫(주즙): ‘배와 삿대’라는 뜻으로, 배 전체(全體)를 이르는 말.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4] 군자는 충성스럽고 믿음직스럽다 / 주이불비(周而不比) (0) | 2024.03.21 |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3] 말보다 행동을 먼저 해라 / 선행기언(先行其言) (0) | 2024.03.20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1] 남의 스승이 되는 방법 /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0) | 2024.03.13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0] 사람의 시작과 끝을 살피면 어찌 숨길 수 있겠는가? / 인언수재(人焉廋哉) (0) | 2024.03.13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9] 안연은 어리석지 않다 / 회야불우(回也不愚) (0) | 202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