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君子周而不比,(군자주이불비) 《孔曰: "忠信為周, 阿黨為比."》 小人比而不周."(소인비이부주)
子曰: "군자는(君子) 충신하고(周而) 아당하지 않으며(不比), 《孔曰: "충신은 주가 되고(忠信為周), 아당은(阿黨) 비가 된다(為比)."》 소인은(小人) 아당하고(比而) 충신하지 않는다(不周)."
* 阿黨(아당): 알랑거림, 간사(奸邪)하고 공정(公正)하지 못함.
[疏]‘子曰 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
○正義曰: 此章明君子小人德行不同之事. 忠信爲周, 阿黨爲比. 言君子常行忠信, 而不私相阿黨, 小人則反是.
○正義曰: 이 장은(此章) 군자와 소인의 덕행이(君子小人德行) 같지 않은 일을(不同之事) 밝혔다(明). 충신이 주가되고(忠信爲周), 아당이 비가 된다(阿黨爲比). 군자는(君子) 늘(常) 충성스럽고 믿음직스럽게 행동하고(行忠信, 而) 사사롭게 서로 아당하지 않고(不私相阿黨), 소인은(小人則) 이것과 반대라는(反是) 말이다(言).
[疏]○注曰 ‘忠信爲周’
○正義曰: 魯語文也.
○正義曰: 노논어의 글이다(魯語文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6] 이단을 전공하면 해로울 뿐이다 / 공호이단(攻乎異端) (0) | 2024.03.22 |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5]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험하다 / 사이불학(思而不學) (0) | 2024.03.22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3] 말보다 행동을 먼저 해라 / 선행기언(先行其言) (0) | 2024.03.20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2] 군자는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 / 군자불기 무소불시(君子不器 無所不施) (0) | 2024.03.15 |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1] 남의 스승이 되는 방법 /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0) | 202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