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貢問君子.(자공문군자) 子曰: “先行其言而後從之.”(선행기언이후종지)
자공이(子貢) 군자를 물었다(問君子). 子曰: “그 말을(其言) 먼저 행하고 나서(先行而後) 그것을 따른다(從之).”
周氏曰: “先行其言者, 行之於未言之前; 而後從之者, 言之於旣行之後.”
周氏曰: “그 말을 먼저 행하는 것은(先行其言者), 말하기 전에(於未言之前) 행하는 것이고(行之); 그런 뒤에 따르는 것은(而後從之者), 말이(言之) 이미 행한 뒤에 있는 것이다(於旣行之後).”
○ 范氏曰: “子貢之患, 非言之艱而行之艱, 故告之以此.”
○ 范氏曰: “자공의 걱정은(子貢之患), 말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非言之艱而) 행동이 어려운 것이었고(行之艱), 그러므로(故) 그에게 이것으로 일러주었다(告之以此).”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15] 생각하지 않으면 사라진다 / 불사즉망(不思則罔) (0) | 2024.03.22 |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14] 군자는 두루 어울린다 / 주이불비(周而不比) (0) | 2024.03.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12] 군자는 규정할 수 없는 존재다 / 군자불기(君子不器) (0) | 2024.03.15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11] 옛 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 새로운 것을 안다 / 온고지신(溫故知新) (0) | 2024.03.13 |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10] 사람을 살피는 방법 / 인언수재(人焉廋哉)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