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주소(論語注疏)

[논어주소(論語注疏) 위정(爲政) 2-18] 말과 행동에 잘못이 없으면 재물은 저절로 온다 / 녹재기중(祿在其中)

by मोक्ष 2024. 3. 23.
반응형

子張學干祿.(자장학간록) 《鄭曰: "弟子, 姓顓孫, 名師, 字子張. 干, 求也. 祿, 祿位也."》 子曰: "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尢.(다문궐의 신언기행 즉과우) 《包曰:尢, 過也. 疑則闕之, 其餘不疑, 猶愼言之, 則少過."》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다견궐태 신행기여 즉과회) 《包曰: "殆, 危也. 所見危者, 闕而不行, 則少悔."》 言寡尢, 行寡悔, 祿在其中矣."(언과우 행과회 녹재기중의) 《鄭曰: "言行如此, 雖不得祿, 亦同得祿之道."》

자장이(子張) 녹봉 구하는 방법을 배우려 했다(學干祿). 鄭曰: "제자로(弟子), 성은 단손이고(姓顓孫), 이름은 사(名師), 자는 자장이다(字子張). 간은(干), 구함이다(求也). 녹은(祿), 녹봉을 받는 지위다(祿位也)."》 子曰: "많이 듣고 의심스러운 것을 빼고(多聞闕疑),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말하면(愼言其餘, 則) 허물이 적다(寡尢). 《包曰:우는(尢), 허물이다(過也). 의심스러우면(疑則) 빼고(闕之), 그 나머지 의심스럽지 않은 것을(其餘不疑), 오히려(猶) 신중하게 말하면(愼言之, 則) 잘못이 적다(少過)."많이 보고 위태로운 것을 빼고(多見闕殆),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실천하면(愼行其餘, 則) 후회가 적다(寡悔). 《包曰: "태는(殆), 위험한 것이다(危也). 보기에 위험한 것을(所見危者), 빼고(闕而) 행동하지 않으면(不行, 則) 후회가 적다(少悔)."말에(言) 허물이 적고(寡尢), 행동에(行) 후회가 적으면(寡悔), 녹봉은(祿) 그 안에 있다(在其中矣)." 《鄭曰: "말과 행동이(言行) 이와 같으면(如此), 비록(雖) 녹봉을 얻지 못하더라도(不得祿), 또한(亦) 녹을 얻는 방법은(得祿之道) <옛사람과> 같다(同)."

 

[疏]‘子張’至‘中矣’
○正義曰: 此章言求祿之法.

○正義曰: 이 장은(此章) 녹봉을 얻는 방법을 말했다(言求祿之法).


‘子張學干祿’者, 干, 求也. 弟子子張師事孔子, 學求祿位之法.

[‘子張學干祿’者], 간은(干), 구함이다(求也). 제자 자장이(弟子子張) 공자를 스승으로 모시고(師事孔子), 녹봉얻는 지위를 얻는 방법을(求祿位之法) 배우려고 했다(學).

 

‘子曰 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尤’者, 此夫子敎子張求祿之法也. 尤, 過也, 寡, 少也. 言雖博學多聞, 疑則闕之, 尤須愼言其餘不疑者, 則少過也.

[‘子曰 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尤’者], 이것은(此) 선생님이(夫子) 자장에게(子張) 녹봉 얻는 방법을 가르친 것이다(求祿之法也). 우는(尤), 허물이고(過也), 과는(寡), 적음이다(少也). 비록(言雖) 많이 배우고 많이 듣더라도(博學多聞), 의심스러우면 빼고(疑則闕之), 더욱이(尤) 모름지기(須) 그 나머지 의심스럽지 않은 것을 신중하게 말하면(愼言其餘不疑者, 則) 허물이 적다(少過也).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者, 殆, 危也. 言雖廣覽多見, 所見危者, 闕而不行, 尤須愼行其餘不危者, 則少悔恨也.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者], 태는(殆), 위험함이다(危也). 비록(言雖) 널리 보고 많이 보더라도(廣覽多見), 보기에 위태로운 것은(所見危者), 빼고(闕而) 행하지 않으며(不行), 더욱이 모름지기(尤須) 그 나머지 의심스럽지 않은 것을 신중하게 행하면(愼行其餘不危者, 則) 회한이 적다(少悔恨也).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者, 言若少過, 行又少悔, 必得祿位, 設若言行如此, 雖偶不得祿, 亦同得祿之道.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者], 만약(若) 허물이 적고(少過), 행동에(行) 또한(又) 후회가 적으면(少悔), 반드시(必) 녹봉 받는 지위를 얻고(得祿位), 만약(設若) 말과 행동이 이와 같은데도(言行如此), 비록(雖) 녹을 얻지 못하는 경우를 만나더라도(偶不得祿), 또한(亦) 녹을 얻는 방법은 같다는(同得祿之道) 말이다(言).

[疏]○注 ‘鄭曰’至‘位也’
○正義曰: 史記弟子傳云 “顓孫師, 陳人, 字子張, 少孔子四十八歲.”

○正義曰: 사기 제자전에 이르길(史記弟子傳云) “단손사는(顓孫師), 진나라 사람이고(陳人), 자가 자장이며(字子張), 공자보다 48살 어렸다(少孔子四十八歲).”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