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19] 정치는 인재를 등용하는 것 / 거직조왕(擧直錯枉)

by मोक्ष 2024. 3. 24.
반응형

哀公問曰: “何爲則民服?”(애공문왈 하위즉민복)

애공이(哀公) 물어 말하길(問曰): “어떻게 하면(何爲則) 백성이 복종할까요(民服)?”라고 했다.

哀公, 魯君, 名蔣.

애공은(哀公), 노나라 임금이고(魯君), 이름은 장이다(名蔣).

孔子對曰: “擧直錯諸枉, 則民服; 擧枉錯諸直, 則民不服.”

공자가 대답하여 말하길(孔子對曰): “곧은 것(사람)을 들(擧直) 굽은 것(사람) 위에 놓으면(錯諸枉, 則) 백성이 복종하고(民服); 굽은 것을 들어서(擧枉錯) 곧은 것 위에 두면(諸直, 則) 백성이 복종하지 않습니다(民不服).”

 

* 擧直錯諸枉: '錯'는 '버려두다, 방치하다'의 뜻으로 '諸'는 '之於'의 줄임말로 보고 해석한 것이다. 주자는 '錯'는  '捨置'로 '諸'는 '衆'으로 보고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고 부정직한 사람을 그만두게 한다'라고 해석했다. 둘 모두 뜻이 통하기는 하지만 당시 한문 어법이나 문장의 구조를 보면 앞의 해석이 좀 더 부드럽다.

 

凡君問, 皆稱‘孔子對曰’者, 尊君也. 錯, 捨置也. 諸, 衆也.

무릇(凡) 임금이 물었을 때(君問), 모두(皆) 공자가 대답했다고 한 것은(稱‘孔子對曰’者), 임금을 높인 것이다(尊君也). 조는(錯), 버려둠이다(捨置也). 제는(諸), 여럿이다(衆也).

程子曰: “擧錯得義, 則人心服.”

程子曰: “들어 쓰고 버리는 것이(擧錯) 의리에 맞으면(得義, 則) 사람의 마음이(人心) 복종한다(服).”

○ 謝氏曰: “好直而惡枉, 天下之至情也. 順之則服, 逆之則去, 必然之理也. 然或無道以照之, 則以直爲枉, 以枉爲直者多矣, 是以君子大居敬而貴窮理也.”

○ 謝氏曰: “곧은 것을 좋아하고(好直而) 굽은 것을 미워하는 것은(惡枉), 천하의 지극한 정리다(天下之至情也). 따르면(順之則) 복종하고(服), 거스르면(逆之則) 떠나는 것은(去), 반드시 그렇게 될 이치다(必然之理也). 그러나(然) 혹(或) 도로써 그것을 비출 수 없으면(無道以照之, 則) 곧은 것을(以直) 굽었다고 여기고(爲枉), 굽은 것을(以枉) 곧다고 여기는 사람이(爲直者) 많으니(多矣), 이 때문에(是以) 군자는(君子) 거경을 중용하게 여기고(大居敬而) 궁리를 귀하게 여긴다(貴窮理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