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위정(爲政) 2-20] 네가 먼저 똑바로 해라 / 사민경충이권(使民敬忠以勸)

by मोक्ष 2024. 3. 25.
반응형

季康子問: “使民敬, 忠以勸, 如之何?”(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 여지하)

계강자가 묻기를(季康子問): “백성으로 하여금(使民) 공경하고, 충성하고, 격려해서 힘쓰게 하려면(敬, 忠以勸), 어떻게 해야 합니까(如之何)?”라고 했다.

 

*  以(이)는 병렬관계를 표시하는 접속사. 而(이)와 같다.

* 如之何(여지하)는 '그것을 어떻게 하는가'라고 해석한다. 如(여) ~ 何(하)는 '~을 어떻게 하는가'라는 뜻의 관용어다.


季康子, 魯大夫季孫氏, 名肥.

계강자는(季康子), 노나라 대부 계씨이고(魯大夫季孫氏), 이름은 비다(名肥).

子曰: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임지이장즉경 효자즉충 거선이교불능즉권)

子曰: “(아랫사람을) 장중함으로 대하면(臨之以莊則) 공경하고(敬), 효도와 자애로 대하면(孝慈則) 충성하고(忠), 능력 있는 사람을 들용해서(擧善而) 능력 없는 사람을 가르치면(敎不能則) 격려해서 힘쓰게 할 수 있습니다(勸).

 

* 臨(림)은 원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을 향하여 내려다본다는 뜻인데 여기서처럼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대한다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孝慈則忠(효자즉충)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앞에 臨之以(림지이)가 생략된 형태이다.


莊, 謂容貌端嚴也. 臨民以莊, 則民敬於己. 孝於親, 慈於衆, 則民忠於己. 善者擧之而不能者敎之, 則民有所勸而樂於爲善.

장은(莊), 용모가 단정하고 엄숙한 것을 말한다(謂容貌端嚴也). 백성을 장엄하게 대하면(臨民以莊, 則) 백성이(民) 자기를 공경한다(敬於己). 부모에게 효도하고(孝於親), 여러 사람을 자애롭게 대하면(慈於衆, 則) 백성이 자기에게 충성한다(民忠於己). 능력 있는 사람을(善者) 등용해서(擧之而) 능력 없는 사람을 가르치면(不能者敎之, 則) 백성에게(民) 권하고 힘쓰게 하는 것이 있고(有所勸而) 선을 행하는 것을 즐거워한다(樂於爲善).

○ 張敬夫曰: “此皆在我所當爲, 非爲欲使民敬忠以勸而爲之也. 然能如是, 則其應蓋有不期然而然者矣.”

○ 張敬夫曰: “이것은(此) 모두(皆) 나에게 있는(在我所) 마땅히 해야 할 것이고(當爲), 백성으로 하여금(使民) 공경하고 충성하고 권면하기를(敬忠以勸而) 바라고서(爲欲) 하는 것이 아니다(爲之也). 그러나(然) 이와 같이 할 수 있다면(能如是, 則) 그 응답에(其應) 대체로(蓋) 그러기를 기약하지 않음이 있더라도(有不期然而) 그렇게 되는 것이다(然者矣).”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