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 뒤안길/효경주소(孝經注疏)

[효경주소(孝經注疏) 어제서병주(御製序并注) (8-1)] 명왕이 효로써 천하를 다스렸다 [명왕지이효리천하(明王之以孝理天下)]

by मोक्ष 2023. 12. 16.
반응형

효경의 '효치장(孝治章)'에 나오는 글의 첫머리다. 명철한 왕은 이렇게 해서 만국의 환심을 살 수 있었다. 그 결과로 선군을 섬기는데 무리가 없었다. 결국, 효는 나라를 덕의 근본이면서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 되는 것이다.

 

경에서 말하길(經曰): "옛날(昔者) 명왕이(明王之) 효로써(以孝) 천하를 다스렸고(理天下也), 감히(敢) 작은 나라의 심하도(小國之臣) 버리지 않았으니(, 而) 하물며(況) 공, 후, 백, 자, 남<의 신하>에 있어서랴(於公·侯·伯·子·男乎.")라고 했다.

經曰: "昔者明王之以孝理天下也, 不敢遺小國之臣, 而況於公·侯·伯·子·男乎." 

(경왈 석자명왕지이효리천하야 불감유소국지신 이황어공후백자남호)

 

【疏】경왈에서(經曰) 형어사해까지(至形於四海). ○正義曰: 여기서(此) 두 번째 단락은(第二段), 자신(현종)이(己) 선대의 명왕을(先世明王) 앙모하여(仰慕), 널리 사랑하고 두루 공경하는 도리를(以博愛廣敬之道) 사해에 미치게 하려는 뜻을(被四海) 서술했다(也). 

【疏】經曰至形於四海. ○正義曰: 此第二段, 序己仰慕先世明王, 欲以博愛廣敬之道被四海也. 

 

* 仰慕(앙모): 우러러 그리워함.

 

○경왈에서(經曰) 남호까지(至男乎). ○인것은(此) 효치장의 글이고(《孝治章》文也), 그러므로(故) 경왈이라고 말했다(言'經曰'). 작은 나라의 신하라도(言小國之臣) 오히려(尙) 감히 버리지 않는데(不敢遺棄), 하물며(何況) 다섯 등급의 작위를 가진 임금에(於五等列爵之君) 있어서랴(乎). 공, 후, 백, 자, 남이(公·侯·伯·子·男), 다섯 등급의 작위다(五等之爵也). 

○經曰至男乎. ○此《孝治章》文也, 故言'經曰'. 言小國之臣尚不敢遺棄, 何況於五等列爵之君乎. 公·侯·伯·子·男, 五等之爵也. 

 

백호통에 이르길(《白虎通》曰): "공이란(公者) 통함이니(通也), 공정하고 사사로움이 없다는 뜻이다(公正無私之意也)."라고 했다. 춘추전에 이르길(《春秋傳》曰): "왕자의 후손을(王者之後) 공이라 일컫는다(稱公). 후란(侯者) 살핀다는 뜻이니(候也), 순종하는지 거역하는지를 살핀다(候順逆也). 백이란(伯者) 우두머리를 뜻하고(長也), 한 나라의 우두머리가 된다(爲一國之長也). 자란(子者) 자애롭다는 뜻이고(字也), 늘(常) 다른 사람에게(於人) 행실이 자애로운 것이다(行字愛也). 남이란(男者) <일을> 떠맡음이니(任也), 늘(常) 왕의 일을 맡아서 한다(任王事也)." 

《白虎通》曰: "公者通也, 公正無私之意也. 《春秋傳》曰: 王者之後稱公. 侯者候也, 候順逆也. 伯者長也, 爲一國之長也. 子者字也, 常行字愛於人也. 男者任也, 常任王事也." 

 

* ≪백호통( 白虎通)≫은 ≪백호통덕론(白虎通德論)≫‧≪백호통의(白虎通義)≫라고도 하는데, 후한의 반고(班固) 등이 漢 章帝(56~88) 때 백호관(白虎觀)에서 있었던 오경(五經)의 동이(同異)에 관한 토론 기록을 정리한 책으로, 당시 經學 문제에 대한 금문경학의 표준 답안이 되었다.

* 王者之後稱公: ≪春秋公羊傳≫ 隱公 5년의 “황제의 후예를 公이라 칭하고, 그 나머지 큰 나라의 임금을 侯라 칭하고, 작은 나라의 임금을 伯‧子‧男이라 칭한다.”에서 발췌한 것이다.

 

왕제에 이르길(《王制》云): "공후의 땅은(公·侯地) 사방 1백 리이고(方百里), 백은 70리고(伯七十里), 자와 남은 50리다(子·男五十里)."라고 했다. 주공의 시대에 이르러(至於周公時), <주나라가> 땅을 늘린 것이(增地) 더욱 넓어져서(益廣), 제후의 땅을(諸侯之地) 더 주었는데(加賜), 공은 5 백리고(公五百里), 후는 4백 리(侯四百里), 백은 3백 리(伯三百里), 자는 2백 리(子二百里), 남은 1 백리다(男一百里). 공이(公) 상등이 되고(爲上等), 후와 백이 중등이 되고(侯·伯爲中等), 자와 남이 하등이 된다(子·男爲下等). 소국의 신하를 말한 것은(小國之臣), 자와 남의 신하를 말한다(謂子·男之臣也). 

《王制》云: "公·侯地方百里, 伯七十里, 子·男五十里." 至於周公時, 增地益廣, 加賜諸侯之地, 公五百里, 侯四百里, 伯三百里, 子二百里, 男一百里. 公爲上等, 侯·伯爲中等, 子·男爲下等. 言小國之臣, 謂子·男之臣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