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11] 학문은 음악에서 완성된다 / 성어락(成於樂)

by मोक्ष 2024. 3. 29.
반응형

興於詩,(흥어시)

시에서 <좋은 마음을> 일으키고(興於詩),

 

[增註] 此章之首, 當有孔子曰三字而略之者蒙上章也他皆倣此. [集解起也詩本性情有邪有正其爲言旣易知而吟咏之間抑揚反覆其感人又易入故學者之初所以興起其好善惡惡之心而不能自已者必於此而得之.

[增註] 이 장의 첫머리에는(此章之首), 마땅히(當) 공자왈 세 글자가 있어야 하지만(有孔子曰三字而) 생략한 것은(略之者), 윗장을 이어받았기 때문이고(蒙上章也), 다른 것도(他) 모두(皆) 이와 같다(倣此).

[集解] 흥은(興), 일어남이다(起也). 시는(詩) 성정에 뿌리를 두고(本性情), 사악한 것도 있고(有邪) 바른 것도 있으니(有正), 그 말이(其爲言), 이미(旣) 알기 쉬워서(易知而) 읊조리는 사이에(吟咏之間), 누르고 올림이 반복되고(抑揚反覆), 그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이(其感人), 또(又) 들어오기 쉽다(易入). 그러므로(故) 배우는 초기에(學者之初), 그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마음을(其好善惡惡之心) 일으키고(興起而) 스스로 그만둘 수 없는 것을(所以不能自已者), 반드시(必) 여기에서 얻는다(於此而得之).

 

立於禮,(입어례)

예에서 서고(立於禮),

 

[集解朱子曰禮以恭敬辭遜爲本而有節文度數之詳可以固人肌膚之會筋骸之束故學者之中所以能卓然自立而不爲事物之所搖奪者必於此而得之.

[集解]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예는(禮), 공경과 사양을 근본으로 삼고(以恭敬辭遜爲本而) 절문과 도수의 상세함이 있어서(有節文度數之詳), 사람의 피부가 모이고(人肌膚之會) 근골이 얽힌 곳을(筋骸之束) 견고하게 할 수 있다(可以固). 그러므로(故) 배우는 중간에(學者之中), 의젓하게 홀로 서서(能卓然自立而) 사물에 흔들리고 빼앗기지 않는 것은(所以不爲事物之所搖奪者), 반드시(必) 여기서 얻는다(於此而得之).

 

* 卓然(탁연): 여럿 중()에서 높이 뛰어나 의젓한 모양(模樣), 탁월(卓越)한 모양(模樣).

 

成於樂.(성어락)

음악에서 완성된다(成於樂).

 

[集說朱子曰樂有五聲十二律更唱迭和以爲歌舞八音之節可以養人之性情而蕩滌其邪穢消融其査滓故學者之終所以至於義精仁熟而自和順於道德者必於此而得之是學之成也又曰按內則十歲學幼儀十三學樂誦詩二十而後學禮則此三者非小學傳授之次乃大學終身所得之難易先後淺深也.

[集說]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음악에는(樂) 5성과 12율이 있고(有五聲十二律), 번갈아 노래하고(更唱) 교대로 화답해서(迭和以) 가무 8음의 장단을 삼으니(爲歌舞八音之節), 사람의 성정을 기르고(可以養人之性情而) 그 사악하고 더러운 것을 깨끗하게 하고(蕩滌其邪穢), 찌꺼기를 없앨 수 있다(消融其査滓). 그러므로(故) 배움의 마지막에(學者之終), 의리가 정밀하고 인이 익숙한 것에 이르러서(所以至於義精仁熟而) 스스로 도덕에 화순하게 하는 것은(自和順於道德者), 반드시(必) 여기에서 얻으니(於此而得之), 이것이(是) 배움의 완성이다(學之成也).

또(又) 말하길(曰) 내칙을 살펴보면(按內則), 10살에(十歲) 어린아이의 예의를 배우고(學幼儀), 13살에(十三) 악을 배우고 시를 외며(學樂誦詩), 20살이 지나서(二十而後) 예를 배우니(學禮則) 이 셋은(此三者), 소학에서 전수하는 순서가 아니라(非小學傳授之次), 바로(乃) 대학에서(大學) 종신토록 얻는(終身所得之) 난이, 선호, 심천에 따른 것이다(難易先後淺深也).

 

* 蕩滌(탕척): 더러운 것을 없애고 정()하게 함.

* 邪穢(사예): 사악(邪惡)하고 더러움.

* 消融(소융): 다 써서 없애 버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