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10] 젊은 사람이 지켜야 하는 도리 / 입즉효 출즉제(入則孝 出則弟)

by मोक्ष 2024. 3. 29.
반응형

孔子曰, 弟子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공자왈 제자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 이친인) 行有餘力, 則以學文.(행유여력 즉이학문)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제자들은(弟子) <집에> 들어가면 효도하고(入則孝), <밖에> 나가면 공손하고(出則弟), 삼가고 믿음을 주고(謹而信), 널리 여러 사람을 사랑하고((汎愛衆, 而) 인한 사람을 가까이 해라(親仁). 행하고도(行) 남은 힘이 있으면(有餘力, 則) 글을 배워라(以學文).

 

[集解朱子曰謹者行之有常也信者言之有實也廣也謂衆人近也謂仁者餘力猶言暇日用也謂時書六藝之文程子曰爲弟子之職力有餘則學文不修其職而先文非爲己之學也.

[集解]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근이란(謹者), 행실에(行之) 일정함이 있는 것이고(有常也), 신이란(信者), 말에(言之) 실질이 있는 것이다(有實也). 범은(汎), 널리다(廣也). 중은(衆), 여러 사람을 말한다(謂衆人). 친은(親),親) 가까이함이다(近也).近也) 인은(仁), 인한 사람을 말한다(謂仁者). 여력은(餘力), 한가한 날을 말한 것과 같다(猶言暇日). 이는(以), 씀이다(用也). 문은(文), 시서육예의 글을 말한다(謂時書六藝之文).
정자가 말하길(程子曰) 제자의 직분이 되어서(爲弟子之職), 힘에(力) 남음이 있으면(有餘則) 글을 배우고(學文), 그 직분을 닦지 않고(不修其職而) 글을 먼저 우선하는 것은(先文), 자기를 위한 배움이 아니다(非爲己之學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