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주소(論語注疏)

[논어주소(論語注疏) 팔일(八佾) 3-6] 태산의 신이 어찌 임방보다 못하겠는가 / 려어태산(旅於泰山)

by मोक्ष 2024. 4. 6.
반응형

季氏旅於泰山. 子謂冉有曰: "女弗能救與?"(계씨려어태산 자위염유왈 여불능구여) 馬曰: "旅, 祭名也. 禮, 諸侯祭山川在其封內者. 今陪臣祭泰山, 非禮也. 冉有, 弟子冉求, 時仕於季氏. 救, 猶止也." 對曰: "不能."(대왈 불능) 子曰:嗚呼! 曾謂泰山不如林放乎?(오호 증위태산불여임방호) 包曰: "神不享非禮. 林放尚知問禮, 泰山之神反不如林放邪? 欲誣而祭之." 

계씨가(季氏) 태산에서(於泰山) 려 제사를 지냈다(旅). 선생님이 염유에게 말하길(子謂冉有曰): "너는(女) 막을 수 없었느냐(弗能救與)?"라고 했다. 《馬曰: "려는(旅), 제사 이름이다(祭名也). 예에서(禮), 제후는(諸侯) 산천이(山川) 그 봉지 안에 있으면(在其封內) 제사 지내는 것이다(者). 지금(今) 가신이(陪臣) 태산에 제사 지냈으니(祭泰山), 예가 아니다(非禮也). 염유는(冉有), 제자 염구이고(弟子冉求), 당시(時) 계씨에게 벼슬했다(仕於季氏). 구는(救), 그만둠과 같다(猶止也)."》 對曰: "막을 수 없었습니다(不能)." 子曰: 아(嗚呼)! 곧(曾) 태산이(泰山) 임방보다 못하다고(不如林放) 말하는 것인가(乎)? 《包曰: "신은(神) 예가 아닌 것을 흠향하지 않는다(不享非禮). 임방이(林放) 오히려(尚) 예를 물을 줄 알았는데(知問禮), 태산의 신이(泰山之神) 도리여(反) 임방보다 못하겠는가(不如林放邪)? 속여서(而) 제사 지내려고(祭之) 한 것이다(欲)."》

 

[疏]‘季氏’至‘放乎’

○正義曰: 此章譏季氏非禮祭泰山也.

○正義曰: 이 장은(此章) 계씨가(季氏) 예가 아닌데(非禮) 태산에 제사 지낸 것을(祭泰山) 비판했다(也).

 

‘季氏旅於泰山’者, 旅, 祭名也. 禮, 諸侯祭山川在其封內者, 今陪臣祭泰山, 非禮也.

[‘季氏旅於泰山’者], 려는(旅), 제사 이름이다(祭名也). 예에(禮), 제후는(諸侯) 산천이(山川) 그 봉지 안에 있는 것일 때(在其封內者) 제사 지낼 수 있는데(祭), 지금(今) 가신이(陪臣) 태산에 제사 지냈으니(祭泰山), 예가 아니다(非禮也).

 

‘子謂冉有曰 女弗能救與’者, 冉有, 弟子冉求, 時仕於季氏. 救, 猶止也. 夫子見季氏非禮而祭泰山, 故以言謂弟子冉有曰 “汝旣臣於季氏, 知其非禮, 卽合諫止, 女豈不能諫止與.” 與, 語辭.

[‘子謂冉有曰 女弗能救與’者], 염유는(冉有), 제자 염구이고(弟子冉求), 당시(時) 계씨에게 벼슬했다(仕於季氏). 구는(救), 그침과 같다(猶止也). 부자께서(夫子) 계씨가 예를 어기고(季氏非禮而) 태산에 제사 지낸 것을(祭泰山) 보았고(見), 그러므로(故) 제자 염유에게 말하기를(以言謂弟子冉有曰) “너는(汝) 이미(旣) 계씨의 신하이고(臣於季氏), 그것이 예가 아님을 알면서(知其非禮), 바로(卽) 그만둘 것을 간하는 것이(止) 마땅한데(合), 너는(女) 어찌(豈) 그만두도록 간 할 수 없었는가(不能諫止與).”라고 했다. 여는(與), 어사다(語辭).

 

‘對曰 不能’者, 言季氏僭濫, 己不能諫止也.

[‘對曰 不能’者], 계씨가(季氏) 참람한 짓을 하는 것을(僭濫), 자기가(己) 간하여 막을 수 없었다는(不能諫止) 말이다(也).

 

‘子曰 嗚呼 曾謂泰山不如林放乎’者, 孔子嘆其失禮, 故曰 “嗚呼.” 曾之言, 則也. 夫神不享非禮. 林放尙知問禮, 況泰山之神, 豈反不如林放乎, 而季氏欲誣罔而祭之也. 言泰山之神, 必不享季氏之祭, 若其享之, 則是不如林放也.

[‘子曰 嗚呼 曾謂泰山不如林放乎’者], 공자가(孔子) 그 예를 잃어버린 것을 한탄하고(嘆其失禮),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아(嗚呼).”라고 했다. 증이란 말은(曾之言), 곧이다(則也). 무릇(夫) 신은(神) 예가 아닌 것을 흠향하지 않는다(不享非禮). 임방이(林放) 일찍을(尙) 예를 물을 줄 아는데(知問禮), 하물며(況) 태산의 신이(泰山之神), 어찌(豈) 도리어(反) 임방만 못해서(不如林放乎, 而) 계씨가(季氏) 속여서(誣罔而) 제사 지내려고 했는가(祭之也). 태산의 신이(泰山之神), 반드시(必) 계씨의 제사를 흠향하지 않을 것이고(不享季氏之祭), 만약(若) 그것을 흠향한다면(其享之, 則) 이것은(是) 임방보다 못한 것이라는(不如林放) 말이다(也).

[疏]○注 ‘馬曰’至‘止也’

○正義曰: 云 ‘旅 祭名’者, 周禮太宗伯職云 “國有大故, 則旅上帝及四望.” 

○正義曰: [云 ‘旅 祭名’者], 주례(周禮) 태종백직에 이르길(太宗伯職云) “나라에(國) 큰 변고가 있으면(有大故, 則) 상제와 사망에게 려 제사를 지냈다(旅上帝及四望).”라고 했다.

 

鄭注云 “故, 謂凶災. 旅, 陳也, 陳其祭事以祈焉, 禮不如祀之備也.” 故知旅祭名也.

정주에 이르길(鄭注云) “고란(故), 흉한 일과 재앙을 말한다(謂凶災). 려는(旅), 베풂이니(陳)也, 그 제사를 베풀고(陳其祭事以) 기도하는 것인데(祈焉), 예가(禮) 제사의 갖춤만 못하다(不如祀之備也).”라고 했다. 그러므로(故) 려가 제사의 이름인 것을 안다(知旅祭名也).

 

云 ‘禮 諸侯祭山川在其封內’者, 王制云 “諸侯祭名山大川之在其地者.” 是也.

[云 ‘禮 諸侯祭山川在其封內’者], 왕제이 이르길(王制云) “제후는(諸侯) 명산대천이(名山大川之) 자기 땅에 있는 것에(在其地者) 제사 지낸다(祭).”라고 했으니 이것이다(是也).

 

云 ‘今陪臣祭泰山 非禮也’者, 陪, 重也. 諸侯旣爲天子之臣, 故謂諸侯之臣爲陪臣. 泰山在魯封內, 故魯得祭之. 今季氏亦祭, 故云非禮.

[云 ‘今陪臣祭泰山 非禮也’者], 배는(陪), 거듭이다(重也). 제후가(諸侯) 이미(旣) 천자의 신하이고(爲天子之臣), 그러므로(故) 제후의 신하를 배신이라고 말했다(謂諸侯之臣爲陪臣). 태산이(泰山) 노나라 안에 있었고(在魯封內), 그러므로(故) 노나라가 제사를 얻었다(魯得祭之). 지금(今) 계씨도 또한(季氏亦) 제사 지냈고(祭), 그러므로(故) 예가 아니라고 말했다(云非禮).

 

云 ‘冉有 弟子冉求’者, 史記弟子傳云 “冉求, 字子有, 少孔子二十九歲.” 鄭玄曰 “魯人.”

[云 ‘冉有 弟子冉求’者], 사기 제자전에 이르길(史記弟子傳云) “염구는(冉求), 자가 자유이고(字子有), 공자보다 29살 어렸다(少孔子二十九歲).”라고 했다. 정현이 말하길(鄭玄曰) “노나라 사람이다(魯人).”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