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夏問曰: "'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何謂也?"(교소천혜 미목반혜 소이위현혜 하위야) 《馬曰: "倩, 笑貌. 盼, 動目貌. 絢, 文貌. 此上二句在《衞風碩人》之二章, 其下一句逸也."》 子曰: "繪事後素."(회사후소) 《鄭曰: "繪, 畫文也. 凡繪畫先布衆色, 然後以素分布其間, 以成其文, 喻美女雖有倩盼美質, 亦須禮以成之."》 曰: "禮後乎?"(예후호) 《孔曰: "孔子言繪事後素, 子夏聞而解, 知以素喻禮, 故曰禮後乎."》 子曰: "起予者商也! 始可與言《詩》巳矣."(기여자상야 시가여언시이의) 《包曰: "予, 我也. 孔子言, 子夏能發明我意, 可與共言《詩》."》
자하가 물어 말하길(子夏問曰): "'예쁜 웃음에(巧笑) 보조개 지고(倩兮), 아름다운 눈동자 움직임이여(美目盼兮), 흰색으로(素以) 색칠했구나(爲絢兮).' 무엇을 말하는지요(何謂也)?"라고 했다. 《馬曰: "천은(倩), 웃는 모습이다(笑貌). 반은(盼), 눈을 굴리는 모습니다(動目貌). 현은(絢), 꾸민 모습이다(文貌). 이 위의 두 구절이(此上二句) 위풍석인의 2장인데(在《衞風碩人》之二章), 그 아래 한 구절은(其下一句) 없어졌다(逸也)."》 子曰: "그림 그리는 일은(繪事) 흰색 칠하는 것을 나중에 한다(後素)."라고 했다. 《鄭曰: "회는(繪), 그림이다(畫文也). 무릇(凡) 그림 그리는 것은(繪畫) 먼저(先) 여러 색을 칠하고 나서(布衆色, 然後) 흰색을(以素) 그 사이에 나누어 칠하고(分布其間, 以) 그 꾸밈을 완성하니(成其文), 미녀에게(美女) 비록(雖) 천반의 아름다운 자질이 있더라도(有倩盼美質), 또한(亦) 모름지기(須) 예로써(禮以) 완성한다(成之)는 것을 비유했다(喻)."》 曰: "예가 나중인가요(禮後乎)?"라고 했다. 《孔曰: "공자가 회사후소를 말하고(孔子言繪事後素), 자하가 듣고 이해하여(子夏聞而解), 소를 예로 비유한 것을 알고(知以素喻禮), 그러므로(故) 예후호라고 했다(曰禮後乎)."》 子曰: "나를 일으키는 사람은(起予者) 상이로구나(商也)! 비로소(始) 함께(可與) 시를 말할 수 있겠구나(言《詩》巳矣)." 《包曰: "여는(予), 나다(我也). 공자가 말하고(孔子言), 자하가(子夏) 나의 뜻을 밝힐 수 있으니(能發明我意), 함께(可與共) 시를 말할 수 있다(言《詩》)."》
[疏]‘子夏’至‘詩己矣’
○正義曰: 此章言成人須禮也.
○正義曰: 이 장은(此章) 사람을 이루는 것은(成人) 모름지기 예가 된다(須禮)란 말이다(言也).
‘子夏問曰 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者, 倩, 笑貌, 盼, 動目貌, 絢, 文貌. 此衛風碩人之篇, 閔莊姜美而不見答之詩也. 言莊姜旣有巧笑‧美目‧倩盼之容, 又能以禮成文絢然. 素, 喩禮也. 子夏讀詩至此三句, 不達其旨, 故問夫子何謂也.
[‘子夏問曰 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者], 천은(倩), 웃는 모습이고(笑貌), 반은(盼), 눈을 움직이는 모습이고(動目貌), 현은(絢), 꾸민 모습이다(文貌). 이것은(此) 위풍 석인 편이고(衛風碩人之篇), 장강이 아름답지만(莊姜美而) 답을 받지 못한 것을(不見答) 가여워한 시다(閔之詩也). 장강에게(莊姜) 이미(旣) 아름다운 웃음과 아름다운 눈동자의 용모가 있고(有巧笑‧美目之容), 또(又) 예로(能以禮) 아름다운 꾸밈을 이룬 것을(成文絢然) 말했다(言). 소는(素), 예를 비유한 것이다(喩禮也). 자하가(子夏) 시를 읽다가(讀詩) 이 세 구절에 이르러(至此三句), 그 뜻에 통달하지 못하고(不達其旨), 그러므로(故) 선생님께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물었다(問夫子何謂也).
‘子曰 繪事後素’者, 孔子擧喩以答子夏也. 繪, 畫文也. 凡繪畫, 先布衆色, 然後以素分布其間, 以成其文. 喩美女雖有倩盼美質, 亦須禮以成之也.
[‘子曰 繪事後素’者], 공자가(孔子) 비유를 들어(擧喩以) 자하에게 대답한 것이다(答子夏也). 회는(繪), 그림이다(畫文也). 무릇(凡) 그림은(繪畫), 먼저(先) 여러 색을 칠하고 나서(布衆色, 然後) 흰색으로(以素) 그 사이에 나누어 칠하여(分布其間, 以) 그 문을 완성한다(成其文). 미녀에게(美女) 비록(雖) 천반의 아름다운 자질이 있더라도(有倩盼美質), 또한(亦) 모름지기(須) 예로 완성한다는 것을(禮以成之) 비유했다(喩也).
‘曰禮後乎’者, 此子夏語. 子夏聞孔子言繪事後素, 卽解其旨, 知以素喩禮, 故曰 “禮後乎.”
[‘曰禮後乎’者], 이것은(此) 자하의 말이다(子夏語). 자하가(子夏) 공자가 회사후소를 말한 것을(孔子言繪事後素) 듣고(聞), 바로(卽) 그 뜻을 이해하여(解其旨), 흰색으로 예를 비유한 것을 알았고(知以素喩禮),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예가 나중입니까(禮後乎).”라고 했다.
‘子曰 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已矣’者, 起, 發也. 予, 我也. 商, 子夏名. 孔子言 “能發明我意者, 是子夏也. 始可與共言詩也.”
[‘子曰 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已矣’者], 기는(起), 밝힘이다(發也). 여는(予), 나다(我也). 상은(商), 자하의 이름이다(子夏名). 공자가 말하길(孔子言) “내 뜻을 드러내줄 수 있는 사람은(能發明我意者), 바로 자하다(是子夏也). 비로소(始) 더불어(可與) 함께 시를 말할 수 있다(共言詩也).”라고 했다.
[疏]○注 ‘馬曰’至‘逸也’
○正義曰: 云 ‘此上二句 在衛風碩人之二章’者, 案今毛詩碩人四章, 章七句, 其二章曰 “手如柔荑, 膚如凝脂, 領如蝤蠐, 齒如瓠犀, 螓首蛾眉, 巧笑倩兮, 美目盼兮.” 是也. 云 ‘其下一句 逸’者, 今毛詩無此一句, 故曰逸, 言亡逸也.
○正義曰: [云 ‘此上二句 在衛風碩人之二章’者], 지금(今) 모시의 석인 4장을 살펴보면(案毛詩碩人四章), 각 장이 7 구인데(章七句), 그 2장에서 말하길(其二章曰) “手如柔荑, 膚如凝脂, 領如蝤蠐, 齒如瓠犀, 螓首蛾眉, 巧笑倩兮, 美目盼兮.” 是也.
[云 ‘其下一句 逸’者], 지금(今) 모시에(毛詩) 이 한 구절이 없고(無此一句), 그러므로(故) 없어졌다고 말했고(曰逸), 망일을 말한 것이다(言亡逸也).
[疏]○注 ‘鄭曰’至‘成之’
○正義曰: 案考工記云 “畫繪之事, 雜五色.” 下云 “畫繪之事, 後素功.” 是知凡繪畫先布衆色, 然後以素分布其間, 以成其文章也.
○正義曰: 고공기에서 말한 것을 살펴보면(案考工記云) “그림 그리는 일은(畫繪之事), 오색을 섞는다(雜五色).”라고 했다. 아래에서 이르길(下云) “그림 그리는 일은(畫繪之事), 흰색 칠하는 것을 나중에 한다(後素功).”라고 했다. 이것은(是) 그림 그리는 것은(凡繪畫) 먼저(先) 여러 색을 칠하고 나서(布衆色, 然後) 흰색을(以素) 그 사이에 나눠 칠해서(分布其間, 以) 그 문장을 이루는 것을(成其文章) 알 수 있다(知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팔일(八佾) 3-10] 울창주를 붓고 나서는 보고 싶지 않다 / 오불욕관지(吾不欲觀之) (0) | 2024.04.09 |
---|---|
[논어주소(論語注疏) 팔일(八佾) 3-9] 문헌이 충분하다면 내가 증명할 수 있다 / 오능언지(吾能言之) (0) | 2024.04.09 |
[논어주소(論語注疏) 팔일(八佾) 3-7] 활쏘기에서 다투는 것이라면 군자답다 / 기쟁야군자(其爭也君子) (0) | 2024.04.07 |
[논어주소(論語注疏) 팔일(八佾) 3-6] 태산의 신이 어찌 임방보다 못하겠는가 / 려어태산(旅於泰山) (0) | 2024.04.06 |
[논어주소(論語注疏) 팔일(八佾) 3-5] 오랑캐의 임금은 중국에 임금이 없는 것보다 못하다 / 불여제하지망(不如諸夏之亡) (0)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