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팔일(八佾) 3-10] 노나라가 주제넘게 체 제사를 지냈다 / 체자기관이왕자(禘自旣灌而往者)

by मोक्ष 2024. 4. 9.
반응형

子曰: “禘自旣灌而往者,(체자기관이왕자)

子曰: “체 제사에서(禘) 이미 강신주를 붓고 나서(自旣灌) 이후의 것은(而往者),


○ 趙伯循曰: “禘, 王者之大祭也. 王者旣立始祖之廟, 又推始祖所自出之帝, 祀之於始祖之廟, 而以始祖配之也. 成王以周公有大勳勞, 賜魯重祭. 故得禘於周公之廟, 以文王爲所出之帝, 而周公配之, 然非禮矣.” 

○ 趙伯循曰: “체 제사는(禘), 왕의(王者之) 큰제사다(大祭也). 왕이(王者) 시조의 묘를 세우고 나서(旣立始祖之廟), 또(又) 시조가 나온 곳의(始祖所自出之) 제를 추존해서(帝), 시조의 묘에서 제사 지내고(祀之於始祖之廟, 而) 시조를(以始祖) 거기에 배향한다(配之也). 성왕은(成王) 주공에게 큰 공로가 있었기 때문에(以周公有大勳勞), 노나라에 큰제사를 주었다(賜魯重祭). 그러므로(故) 주공의 묘에서 체 제사를 지냈고(得禘於周公之廟, 以) 문왕이(文王) 나온 곳이 되는 제로 삼고(爲所出之帝, 而) 주공을 배향했지만(周公配之), 그러나(然) 예가 아니다(非禮矣).”라고 했다. 


吾不欲觀之矣.”(오불욕관지의)

내가(吾) 그것을 보고 싶지 않다(不欲觀之矣).”


灌者, 方祭之始, 用鬱鬯之酒灌地, 以降神也. 魯之君臣, 當此之時, 誠意未散, 猶有可觀. 自此以後, 則浸以懈怠而無足觀矣. 蓋魯祭非禮, 孔子本不欲觀, 至此而失禮之中又失禮焉, 故發此歎也.

관이란(灌者), 바야흐로(方) 제사의 시작에서(祭之始), 울창주를 써서(用鬱鬯之酒) 땅에 붓고(灌地, 以) 신을 부르는 것이다(降神也). 노나라의 군신이(魯之君臣), 이때를 당해서는(當此之時), 성의가 아직 흩어지지 않았고(誠意未散), 오히려(猶) 볼만한 것이 있었다(有可觀). 이로부터 뒤로는(自此以後, 則) 차차(浸) 게을러져서(以懈怠而) 볼 것이 없었다(無足觀矣). 대개(蓋) 노나라의 제사가(魯祭) 예가 아니어서(非禮), 공자가(孔子) 본래 보려고 하지 않았고(本不欲觀), 여기에 이르러서는(至此而) 예를 잃은 가운데(失禮之中) 또 예를 잃었고(又失禮焉), 그러므로(故) 이런 탄식을 내뱉었다(發此歎也).


○ 謝氏曰: “夫子嘗曰: ‘我欲觀夏道, 是故之杞, 而不足徵也; 我欲觀殷道, 是故之宋, 而不足徵也.’

○ 謝氏曰: “부자가 일찍이 말하길(夫子嘗曰): ‘나는(我) 하나라의 도를 보고 싶었고(欲觀夏道), 이 때문에(是故) 기나라에 갔지만(之杞, 而) 증거가 부족했고(不足徵也); 내가 은나라의 도를 보고 싶었고(我欲觀殷道), 이 때문에(是故) 송나라에 갔지만(之宋, 而) 증거가 부족했다(不足徵也).’


又曰: ‘我觀周道, 幽ㆍ厲傷之, 吾舍魯何適矣. 魯之郊ㆍ禘非禮也, 周公其衰矣!’ 考之杞ㆍ宋已如彼, 考之當今又如此, 孔子所以深歎也.”

또 말하길(又曰): ‘내가 주나라의 도를 보니(我觀周道), 유왕과 려왕이 그것을 망가뜨렸으니(幽ㆍ厲傷之), 내가(吾) 노나라를 버리고(舍魯) 어디로 가겠는가(何適矣). 노나라의(魯之) 교 제사와 체 제사는(郊ㆍ禘) 예에 어긋나고(非禮也), 주공의 도가 쇠퇴했구나(周公其衰矣)!’라고 했다. 기나라와 송나라에서 상고한 것이(考之杞ㆍ宋) 이미 저것과 같았고(已如彼), 당시에 상고한 것이(考之當今) 또(又) 이와 같으니(如此), 공자가(孔子) 깊이 한탄한 까닭이다(所以深歎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