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1-18] 효자지양(孝子之養) / 효자가 부모를 모시는 것은 진심을 다하는 것이다

by मोक्ष 2024. 4. 17.
반응형

曾子曰, 孝子之養老也, 樂其心, 不違其志, 樂其耳目, 安其寢處, 以其飮食, 忠養之.(효자지양노야 락기심 불위기지 락기이목 안기침처 이기음식 충양지)

증자가 말하길(曾子曰), 효자가(孝子之) 늙은 부모를 봉양하는 것은(養老也), 그 마음을 즐겁게 하고(樂其心), 그 뜻을 거스르지 않고(不違其志), 그 눈과 귀를 즐겁게 하고(樂其耳目), 그 잠자리와 처소를 편안하게 하고(安其寢處), 음식으로(以其飮食), 성실하게 봉양한다(忠養之).


[集解] 樂其心, 順適其心, 使樂而無憂也, 不違其志, 先意迎承, 使無違逆也. 怡聲以問, 所以樂其耳, 柔色以溫, 所以樂其目. 昏定以安其寢, 晨省以安其處也. 忠者, 盡己之謂. [集說] 方氏曰養親之道雖非卽飮食以能盡, 亦非舍飮食以能爲, 君子何以處之? 亦曰忠養之而已. 夫養之以物, 止足以養其口體, 養之以忠, 則足以養其志矣.

[集解] 락기심은(樂其心), 그 마음을 따르는 것이고(順適其心), 즐겁게 해서(使樂而) 걱정이 없도록 하는 것이고(無憂也), 불위기지는(不違其志), 미리(先) 뜻을 나가 받들어(意迎承), 거스르는 것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使無違逆也). 부드러운 소리를 내서 묻는 것은(怡聲以問), 그 귀를 즐겁게 하는 것이고(所以樂其耳), 부드러운 안색으로 온화하게 하는 것은(柔色以溫), 그 눈을 즐겁게 하는 것이다(所以樂其目). 저녁에 <이부자리를> 정리하면서(昏定以) 그 잠자리를 편안하게 하고(安其寢), 새벽에  살펴서(晨省以) 그 처소를 편안하게 한다(安其處也). 충이란(忠者) 자기를 다하는 것을 말한다(, 盡己之謂).

[集說] 방씨가 말하길(方氏曰) 부모를 봉양하는 도가(養親之道) 비록(雖) 음식으로 다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非卽飮食以能盡), 또한(亦) 음식을 버리고서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非舍飮食以能爲), 군자는(君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何以處之)? 또한(亦) 진심으로 봉양할 뿐이다(曰忠養之而已). 무릇(夫) 물건으로 봉양하는 것은(養之以物), 다만(止) 그 입과 몸을 봉양할 수 있지만(足以養其口體), 진심으로 봉양하면(養之以忠, 則) 그 뜻을 봉양할 수 있다(足以養其志矣).

 

* 順適(순적): 거스르지 않고 좇음.

* 怡聲(이성): 부드러운 소리. 기쁜 목소리.

 

是故父母之所愛亦愛之, 父母之所敬亦敬之.(시고부모지소애역애지 부모지소경역경지) 至於犬馬盡然, 而況於人乎.(지어견마진연 이황어인호)

이 때문에(是故) 부모가(父母之) 아끼는 것은(所愛) 또한 아끼고(亦愛之), 부모가 공경하는 것은(父母之所敬) 또한 공경한다(亦敬之). 개와 말에 이르러서도 그러하니(至於犬馬盡然, 而) 하물며(況) 사람에게는 어떻겠는가(於人乎).


[集解] 眞氏曰孝子愛敬之心, 無所不至. 故父母之所愛者, 雖犬馬之賤, 亦愛之, 況人乎哉? 姑擧其近者言之, 若兄若弟, 吾父母之所愛也, 吾其可不愛之乎? 若薄之, 是薄吾父母也. 若親若賢, 吾父母之所敬也, 吾其可不敬之乎? 若慢之, 是慢吾父母也. 推類而長, 莫不皆然.

[集解] 진씨가 말하길(眞氏曰) 효자의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은(孝子愛敬之心),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無所不至). 그러므로(故) 부모가 아끼는 것은(父母之所愛者), 비록(雖) 개나 말처럼 천하더라도(犬馬之賤), 또한 아껴야 하니(亦愛之), 하물며(況) 사람은 어떻겠는가(人乎哉)? 그러므로(姑) 그 가까운 것을 들어서 말하면(擧其近者言之), 형 같거나 아우 같다면(若兄若弟), 나의 부모가 사랑하는 것이니(吾父母之所愛也), 내가(吾) 어찌(其) 아끼지 않겠는가(可不愛之乎)? 만약 박대한다면(若薄之), 이것은(是) 나의 부모를 박하게 대하는 것이다(薄吾父母也). 친척과 현인 같다면(若親若賢), 우리 부모가(吾父母之) 공경하는 사람이니(所敬也), 내가 어찌 공경하지 않겠는가(吾其可不敬之乎)? 만약(若) 소홀히 한다면(慢之), 이것은(是) 내 부모를 소홀히 하는 것이다(慢吾父母也). 이런 식으로 미루어 확장하면(推類而長), 무엇도 모두 그렇지 않은 것이 없다(莫不皆然).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