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道不行, 乘桴浮于海.(자왈 도불행 승부부우해) 從我者其由與.” (아종자기유여)
子曰: “도가(道) 행해지지 않으니(不行), 뗏목을 타고(乘桴) 바다에 떠다니고 싶구나(浮于海). 나를 따르는 사람은(從我者) 아마도(其) 자로일 것인가(由與).”
○ 桴, 筏也. 程子曰: “浮海之歎, 傷天下之無賢君也. 子路勇於義, 故謂其能從己, 皆假設之言耳.
○ 부는(桴), 뗏목이다(筏也).
程子曰: “부해지탄은(浮海之歎), 천하에(天下之) 어진 임금이 없는 것을(無賢君) 안타까워한 것이다(傷也). 자로가(子路) 의에 용맹스럽고(勇於義), 그러므로(故) 아마 자기를 따를 수 있다고 말했고(謂其能從己), 모두(皆) 가정한 말일뿐이다(假設之言耳).
子路聞之喜.(자로문지희) 子曰: “由也好勇過我, 無所取材.”(유야호용과아 무소취재)
자로가(子路) 그것을 듣고(聞之) 기뻐했다(喜).
子曰: “자로는(由也) 용맹을 좋아하는 것이(好勇) 나를 넘어섰지만(過我), 사리를 헤아리는 것이 없다(無所取材).”
○ “子路以爲實然, 而喜夫子之與己, 故夫子美其勇, 而譏其不能裁度事理, 以適於義也.”
○ “자로가(子路) 실제로 그렇다고 여기고(以爲實然, 而) 선생님이 자기와 함께 하는 것을 기뻐하고(喜夫子之與己), 그러므로(故) 선생님이(夫子) 그 용기를 칭찬하고(美其勇, 而) 그가 사리를 헤아리고(其不能裁度事理, 以) 의리에 맞게 하지 못하는 것을(適於義) 비판했다(譏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8] 문일지십(聞一知十) / 너와 안회 중에 누가 더 현명한가? (0) | 2024.05.12 |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7] 부지기인(不知其仁) / 자로와 염구, 공서화는 인한 사람인가? (0) | 2024.05.11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5] 오사지미능신(吾斯之未能信) / 저는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습니다 (0) | 2024.05.10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4] 언용녕(焉用佞) / 어질지 못하면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느냐? (0) | 2024.05.09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3] 자공호련(子貢瑚璉) / 자공아! 너는 옥 그릇 같은 사람이다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