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안평중선여인교 구이경지)
子曰: “안평중은(晏平仲) 남과 사귀기를(與人交) 잘했으니(善), 오래되어도(久而) 공경했다(敬之).”
晏平仲, 齊大夫, 名嬰. 程子曰: “人交久則敬衰, 久而能敬, 所以爲善.”
안평중은(晏平仲), 제나라 대부로(齊大夫), 이름은 영이다(名嬰).
程子曰: “사람이 사귄 것이(人交) 오래되면(久則) 공경이 약해지지만(敬衰), 오래되어도(久而) 공경할 수 있으니(能敬), 훌륭함이 되는 까닭이다(所以爲善).”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8] 무희색 무온색(無喜色 無慍色) / 천리에 맞고 사심이 없는 것이 인이다 (0) | 2024.05.18 |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7] 산절조절(山節藻梲) / 장문중의 지혜는 보잘것없다 (0) | 2024.05.15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5] 군자사도(君子四道) / 군자라면 마땅히 네 가지 도(道)를 가져야 한다 (0) | 2024.05.14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4] 불치하문(不恥下問) / 배움에는 위 아래가 없다 (0) | 2024.05.14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13] 유공유문(唯恐有聞) / 자로는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걱정했다 (0) | 2024.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