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巧言, 令色, 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자왈 교언영색주공 좌구명치지 구역치지) 匿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익원이우기인 좌구명치지 구역치지)
子曰: “솜씨 좋은 말(巧言), 잘 꾸민 얼굴빛(令色), 지나친 공손은(足恭),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고(左丘明恥之), 나도 또한(丘亦) 부끄럽게 여긴다(恥之).
원한을 숨기고(匿怨而) 그 사람을 벗하는 것은(友其人),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고(左丘明恥之), 나도 또한(丘亦) 부끄럽게 여긴다(恥之).”
○ 足, 過也.
○ 주는(足), 지나침이다(過也).
程子曰: “左丘明, 古之聞人也.”
程子曰: “좌구명은(左丘明), 옛날의(古之) 이름난 사람이다(聞人也).”
謝氏曰: “二者之可恥, 有甚於穿窬也. 左丘明恥之, 其所養可知矣. 夫子自言 ‘丘亦恥之’, 蓋竊比老彭之意. 又以深戒學者, 使察乎此而立心以直也.”
謝氏曰: “두 가지를(二者之) 부끄럽다고 할만하기에는(可恥), 벽에 구멍을 뚫고 담을 넘는 것보다(於穿窬) 심한 점이 있다(有甚也).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으니(左丘明恥之), 그 소양을 알 수 있다(其所養可知矣). 선생님이 스스로 말하길(夫子自言) ‘나도 부끄럽게 여긴다(丘亦恥之)’라고 했으니, 대개(蓋) 슬며시(竊) 노팽에게 견준다는 뜻이다(比老彭之意). 또(又) 이것으로(以) 학자를 깊이 경계해서(深戒學者), 이것을 살펴서(察乎此而) 곧음으로 마음을 세우도록 했다(使立心以直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26] 내자송자(內自訟者) / 마음 속으로 자신을 꾸짖는 사람 (0) | 2024.05.20 |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25] 무벌선 무시로(無伐善 無施勞) / 자랑하지 않고 떠벌리지 않는다 (0) | 2024.05.20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23] 미생고직(微生高直) / 누구를 위하여 없으면서 있는 척 하는가? (0) | 2024.05.19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22] 불념구악(不念舊惡) / 백이와 숙제는 묵은 원한을 마음에 담아두지 않는다 (0) | 2024.05.19 |
[논어집주(論語集注) 공야장(公冶長) 5-21] 비연성장(斐然成章) / 화려하게 문장을 이루었구나 (0) | 2024.05.19 |